[FETV=장기영 기자] 하나생명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불법 영업행위를 자동 탐지하는 ‘AI 기반 불법영업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하나생명이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기반으로 불법 영업 관련 게시글의 문장 구조와 어휘, 문맥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불법 모집행위나 허위 또는 과장 광고 문구를 자동 식별하고, 준법지원부서 확인을 거쳐 대응한다. 하나생명은 시스템 도입에 따라 기존 수작업 모니터링에 비해 적발 효과를 높이고, 소비자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은정 하나생명 데이터전략부장은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을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높이고 건전한 금융시장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FETV=장기영 기자] 교보생명이 편의점에서 한 줄의 문장으로 위로와 응원을 전하는 이색 팝콘 상품을 출시했다. 교보생명은 BGF리테일과 함께 전국 CU 편의점에서 ‘문장 한입 팝콘’을 판매한다고 6일 밝혔다. 문장 한입 팝콘은 교보생명이 창출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일상에 지친 이들에게 위로와 응원을 전하기 위해 기획된 상품이다. 상품은 캐러멜맛과 버터맛 등 두 가지 맛을 함께 담았으며, 판매 가격은 1900원이다. 특히 상품에는 다양한 문장이 적힌 책갈피가 들어있다. 책갈피는 ‘불편한 편의점’(김호연), ‘편안함의 습격’(마이클 이스터), ‘경애의 마음’(김금희), ‘찌그러져도 동그라미입니다’(김창완) 등 인기 소설과 에세이 50권에서 발췌한 문장을 담은 60종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교보생명은 독서하는 것이 멋지다는 뜻의 ‘텍스트힙(Text Hip)’ 열풍 속에 젊은 고객들과의 접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교보생명은 업계 최초로 통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독서 서비스 ‘서재’를 선보이기도 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팝콘을 한입 먹으면서 한 줄의 문장을 함께 즐기고 문장이 지닌 힘을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FETV=장기영 기자] DB손해보험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 신규 운영사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팁스는 유망 기술을 보유한 초기 창업기업을 정부와 민간투자사가 함께 발굴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선정 기업은 운영사 1억원, 정부 6억원 등 최대 7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에 선정된 신규 운영사는 DB손보를 포함해 총 39곳이다. DB손보는 기존 교보생명, 삼성화재에 이어 보험사 중 세 번째로 운영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DB손보는 팁스 운영사로서 기술력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보험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들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그동안 DB손보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을 통한 스타트업 투자를 추진해왔으나, 팁스 운영사 선정을 계기로 초기 스타트업 직접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기존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한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한 뒤 팁스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심진섭 DB손보 전략혁신본부장은 “스타트업을 육성하면 장기적 관점에서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전 생애에 걸친 투자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FETV=장기영 기자] 현대해상이 업계 최초로 고위험 임산부의 집중치료실 입원비를 보장하는 담보를 개발해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 현대해상은 손해보험협회 신상품심의위원회로부터 ‘굿앤굿 어린이종합보험Q’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 치료 급여금, 척추 전방전위증 진단금과 ‘뉴하이카 운전자상해보험’의 관절경 검사 지원비 등 신규 담보 3종에 대해 각 3개월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배타적 사용권은 보험상품의 독창성, 유용성, 진보성 등을 평가해 부여하는 독점 판매 권한이다. 사용권 부여 기간 다른 보험사는 유사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 고위험 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 치료 급여금 담보는 조기 진통, 산과적 출혈, 38도 이상 고열 등 산모와 태아에게 위급한 질환으로 집중치료실에 입원해 치료를 받은 경우 최대 30만원을 지급한다. 척추 전방전위증 진단금 담보는 척추가 밀려 나온 정도를 평가하는 의학적 척도 ‘마이어딩 분류’를 적용해 등급에 따라 30만~500만원을 각 최초 1회 보장한다. 관절경 검사 지원비 담보는 관절경 검사 시 최대 30만원을 보장해 관절 손상 관련 의료비 지원을 강화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객의 생애주기 전반
[편집자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금융당국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방침을 밝히면서 보험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각종 금융사고 예방, 내부통제 강화와 함께 보험 가입과 유지, 지급 등 전 과정에서 소비자 분쟁 지표 관리 필요성이 높아졌다. 3개 대형 생명보험사와 5개 대형 손해보험사의 올해 3분기 민원 건수와 분쟁조정 신청 건수를 총 4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3대 대형 생명보험사의 올해 3분기 누적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생보사의 분쟁조정 신청 절반가량이 3개 대형사에 집중된 가운데 한화생명은 유일하게 700건을 웃돌아 가장 많았다. 6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3개 대형 생보사의 올해 1~3분기(1~9월) 분쟁조정 신청 건수(중·반복 제외)는 2097건으로 전년 동기 1801건에 비해 296건(16.4%) 증가했다. 이 기간 3개 대형사의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나란히 늘었다. 특히 한화생명은 660건에서 776건으로 116건(17.6%) 증가해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가장 많았다. 업계 1위 삼성생명 역시 668건에서 673건으로 5건(0.7%) 늘어 뒤를 이었다.
[FETV=장기영 기자] 자본적정성이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은 롯데손해보험에 결국 ‘경영개선권고’ 조치가 내려졌다. 롯데손보는 ‘자체 위험 및 지급여력 평가제도(ORSA)’ 도입 유예와 관련된 비계량평가 결과를 근거로 적기시정조치를 결정한 것은 위법성 소지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5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정례회의를 열어 롯데손보에 대한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결정했다. 경영개선권고는 보험사의 경영실태평가(RAAS) 결과에 따라 부과하는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 등 3단계 적기시정조치 중 가장 낮은 수준의 조치다. 이번 조치는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12월 실시한 정기검사와 올해 2월 실시한 추가 검사에서 롯데손보의 RAAS 종합평가등급으로 3등급(보통)을 부여했으나, 자본적정성 부문 등급은 4등급(취약)을 부여한 데 따른 것이다. 롯데손보는 검사 기준일인 지난해 6월 말 기준 자본적정성 부문 계량평가 등급은 3등급을 유지했으나, 비계량평가 등급은 4등급을 받았다. 이 같은 결과에는 ORSA 도입의 유예가 영향을 미쳤다. ORSA는 보험사가 자체적으로 위험을 식별하고,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제도다. 금감원은 비
[편집자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금융당국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방침을 밝히면서 보험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각종 금융사고 예방, 내부통제 강화와 함께 보험 가입과 유지, 지급 등 전 과정에서 소비자 분쟁 지표 관리 필요성이 높아졌다. 3개 대형 생명보험사와 5개 대형 손해보험사의 올해 3분기 민원 건수와 분쟁조정 신청 건수를 총 4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손해보험업계 1위사 삼성화재의 올해 3분기 누적 민원 건수가 10% 이상 늘어 5대 대형사 중 가장 많았다. 보유계약이 가장 많음에도 민원 건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지난해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유형별로는 10건 중 8건이 보험금 지급에 대한 민원이었고, 상품별로는 장기보장성보험 민원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5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5개 대형 손보사의 올해 1~3분기(1~9월) 민원 건수는 2만3805건으로 전년 동기 2만3719건에 비해 86건(0.4%) 증가했다. 이 기간 삼성화재, 현대해상 등 2개 대형사의 민원 건수가 늘었다. 특히 삼성화재의 민원 건수는 4941건에서 5599건으로 658건(13.3%)
[편집자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금융당국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방침을 밝히면서 보험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각종 금융사고 예방, 내부통제 강화와 함께 보험 가입과 유지, 지급 등 전 과정에서 소비자 분쟁 지표 관리 필요성이 높아졌다. 3개 대형 생명보험사와 5개 대형 손해보험사의 올해 3분기 민원 건수와 분쟁조정 신청 건수를 총 4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생명보험업계 2위 경쟁사 한화생명과 교보생명의 올해 3분기 누적 민원 건수가 나란히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보험금 지급 관련 민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상품별로는 주력 상품인 보장성보험과 종신보험 민원이 80%가량을 기록했다. 4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3개 대형 생보사의 올해 1~3분기(1~9월) 민원 건수는 6446건으로 전년 동기 6197건에 비해 249건(4%) 증가했다. 이 기간 2위 경쟁사 한화생명과 교보생명의 민원 건수가 나란히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한화생명의 민원 건수는 1909건에서 2060건으로 151건(7.9%)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1377건에서 1555건으로 178건(12.9%) 민원 건수가 늘어 증가 폭이 더 컸
[FETV=장기영 기자] 미래에셋생명은 오는 28일까지 고객들의 건강한 삶을 응원하기 위한 ‘더(The) 건강하게 배지원정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벤트 기간 미래에셋생명의 ‘엠라이프(M-LIFE)’ 애플리케이션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해 건강활동을 실천하면 경품을 증정한다. 건강목표 설정, 식단 연속 기록(2일), 건강검진 연동 등 총 9개 건강활동을 실천하면 건강 배지를 지급하고, 배지를 많이 모을수록 경품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미래에셋생명은 이벤트 참여자 중 700명을 추첨해 올리브영 모바일 기프트카드 5000원권을 증정할 예정이다. 이벤트는 미래에셋생명 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엠라이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정기 미래에셋생명 디지털본부장은 “고객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건강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FETV=장기영 기자] 한화생명은 당뇨병 진단 초기 치료부터 합병증 치료까지 전 과정을 종합 보장하는 ‘한화생명 H당뇨보험’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상품은 기존 중증 위주 당뇨병 보장의 한계를 보완하고, 유병자도 가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GLP-1 처방 등 약물치료 보장을 강화하고, 당뇨병과 연관성이 높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보장 특약을 추가했다. 당뇨병 주요 치료 보장 특약 가입 시 약물치료와 수술 등을 폭넓게 보장한다. 응급실 내원비와 입원비, 수술비 등도 보장받을 수 있다. 최근 입원, 수술, 진단 여부와 당뇨병 관련 진단, 치료 이력을 고지하면 만성질환이 있는 유병자도 간편가입형 가입이 가능하다. 가입 연령은 20세부터 80세까지다. 월 보험료는 40세 남성, 100세 만기, 20년납, 일반가입형, 주계약 가입금액 1500만원 기준 5만795원 수준이다. 이상희 한화생명 상품개발팀장은 “이번 상품은 경증 단계 약물치료부터 합병증까지 치료 과정 전반을 보장하는 당뇨병 종합보험”이라며 “유병자도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어 더 많은 고객들이 당뇨병 걱정 없이 건강한 삶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