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진태 기자]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분양된 상가 10개 중 7개는 수도권 물량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에서 연평균 3만296개의 상가가 분양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의 연평균 상가 분양물량이 2만2569개(74.5%)로, 지방 7727개(25.5%) 보다 3배가량 많았다. 최근 5년간 상가 유형별 분양물량은 ▲근린상가 5만3418개(35.3%) ▲주상복합상가 3만5168개(23.2%) ▲단지내상가 2만7936개(18.4%) ▲오피스상가 1만2799개(8.4%) ▲지식산업센터상가 1만1251개(7.4%) ▲복합쇼핑몰 6648개(4.4%) ▲기타상가 4260개(2.8%) 순으로 집계됐다. 분양상가의 유형은 권역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신도시 및 택지지구가 많은 수도권에서는 근린상가의 분양 비중이 37.3%(전체 11만2843개 중 4만2040개)로 가장 높았다. 반면 지방은 단지내상가의 분양 비중이 31.7%(전체 3만8637개 중 1만2251개)로 가장 컸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1, 2기 신도시에 이어 3기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주거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근린상가의 분양도 늘어날 전망"
[FETV=김진태 기자] GS건설이 10년 만에 다시 ‘AA-(안정적)’ 등급의 신용을 회복할지 관심이 쏠린다. 과거 강등 당시 원인이 됐던 수익성과 재무건전성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어서다. 이뿐 아니다. GS건설은 올해 역대급 분양 실적을 예고하면서 3년만에 매출이 가파르게 반등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최근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들의 정기평가에서 ‘A+(안정적)’ 등급을 유지했다. 지난 2013년 5월 ‘AA-(안정적)’에서 강등된 이후 9년째 제자리 걸음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GS건설이 올해 매출 턴어라운드를 기록하며 신용등급도 10년 만에 상향 조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당시 신용등급 강등의 원인이 됐던 수익성과 재무안전성 부문에서 호실적을 거두고 있어서다. GS건설은 지난 2013년 935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이후 꾸준히 수익성을 개선하며 2021년 646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영업이익률은 7.1%에 달한다. 코로나19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경영 여건이 좋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기대 이상의 호실적이다. 올해 실적도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GS건설은 올해 매출
[FETV=김진태 기자] 지난해 주택 매매시장을 주도한 2030세대의 매수세가 올해 들어 한풀 꺾였다. 급격히 치솟은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가중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5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 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917건으로 이 가운데 30대 이하 매수 비중은 38.7%(3063건)를 기록했다. ㅠ 반기 기준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20년 상반기 34.6%에서 2020년 하반기 40.2%로 처음 40%를 넘었다. 이어 지난해에도 집값 상승에 불안감을 느낀 2030 세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이 이어지며 상반기(41.4%)와 하반기(42.0%) 연속해서 30대 이하 구매 비중이 40% 이상이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고물가와 금리 인상,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30대 이하 매수세가 다소 약해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월별로도 올해 1월 37.5%, 2월 36.0%에서 대선 이후 규제완화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3월과 4월에 각각 40.7%, 42.3%로 다시 40%를 넘었으나 5월에는 37.4%로 내려왔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한 양상이다. 전국
[FETV=김진태 기자] 올해 6월 건설업계의 건설체감경기지수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인상 영향으로 크게 하락했다. 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달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64.78로, 전월 대비 18.7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CBSI는 지난 4월에 전월보다 16.1p 하락한 뒤 5월에 다시 13.9p 상승해 회복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데다 금리 인상으로 전반적인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체감지수가 급락한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지난달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일부 건설공사 현장의 레미콘·철근 등 수급에 차질이 빚어졌던 것도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18.7p 하락은 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졌던 2020년 1월에 20.5p 떨어진 이후 2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라며 "지수 자체도 2020년 4월 60.6 이후 2년2개월 만에 가장 낮다"고 설명했다. 올해 7월 CBSI 전망지수는 6월보다 8.9
[FETV=김진태 기자] 이베스트투자증권은 4일 GS건설에 대해 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금리 인상을 감안했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6만원에서 4만8000원으로 하향했다. 다만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GS건설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2조660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9.2% 증가해 컨센서스(추정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됐다. 영업이익은 1611억원으로 29.0% 증가해 컨센서스 대비 27.5% 하회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러한 영업이익은 추정은 2분기 특정 해외 플랜트 현장에 대해 코로나19로 인한 추가 원가 반영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 때문이다. 주택의 경우는 예정원가 미확정 현장들의 순차적 확정으로 점진적 정상화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김세련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주택 정상화 구간에서 해외 비용 반영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대된 점은 아쉽다"라며 "1만1000여 세대로 파악되는 상반기 누계 분양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FETV=김진태 기자] 롯데건설이 지난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2 한국서비스대상 시상식’에서 21년 연속 아파트 부문 종합대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한국서비스대상은 한국표준협회(KSA)에서 주관하는 상으로, 국내 서비스 산업 품질 향상을 목표로, 고객 중심의 서비스 품질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경영 전반에 서비스 성과와 수준이 탁월한 기업에게 주어진다. 롯데건설은 국내 1위의 초고층 건축물인 롯데월드타워를 준공하고 토목, 발전, 화공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기획 및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롯데건설은 1999년 국내 주택업계 최초로 ‘롯데캐슬’을 출시해 브랜드 아파트 시대를 열고, 프리미엄 브랜드 롯데캐슬로 국내의 고품격 주거 문화를 이끌어 왔다. 최근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과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커뮤니티 인테리어 스타일인 ‘살롱 드 캐슬’을 선보이며 주거 트렌드에 앞장섰다. 롯데건설은 2019년에 고객 트렌드를 새롭게 반영한 외관, 조경, 커뮤니티시설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하이엔드 주거 브랜드 르엘(LE-EL)을 런칭하며 최고급 주거 공간 구
[FETV=김진태 기자] 이달 전국에서 총 3만9655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74% 늘어난 물량이다. 4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7월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 63개 단지에서 총 3만9655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일반 분양 물량은 3만4095가구다. 2021년 동월 물량과 비교해 총 가구수는 1만6819가구(74%), 일반분양은 1만4960가구(78%)가 더 분양될 예정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난달 21일 분양가 제도 운영 합리화 방안 발표로 공급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던 단지들이 점차 공급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분양가 예상 상승률이 1.5%~4%에 그쳐 실질적으로 정비사업 분양 속도가 개선될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1만2239가구가 분양 준비 중이다. 경기가 7750가구로 가장 많은 공급이 계획되어 있다. 서울은 공급이 없다. 지방에서는 2만7416가구의 분양이 계획되어 있으며, 대구에서 5050가구로 가장 많은 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FETV=권지현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4일부터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 2562호의 청약 접수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매입임대주택은 LH가 도심 내 신축 또는 기존 주택을 매입해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등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조건으로 빌려주는 공공임대주택이다. LH는 지난 3월 실시한 1차 정기모집을 통해 4340호를 공급했고, 이번에 2차로 전국 76개 시·군·구에서 총 2562호를 공급한다. 유형별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238호,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1324호이며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1299호, 그 외 지역에 1263호가 배정된다. 각각 무주택 요건과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내달 말 당첨자를 발표하며, 입주자격 검증 등을 거쳐 9월 이후에 입주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LH청약센터에 게시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FETV=김진태 기자]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90 이하로 떨어졌다. 금리 인상, 집값 하락 우려에 수도권 전역에 걸쳐 매수 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작년의 35% 수준으로 급감하며 5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를 기록했다. 2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9.8을 기록하며 90 이하로 떨어졌다. 수급지수는 조사 시점의 상황에 따라 상대적이긴 하지만 수치상 수도권 매매수급지수가 90 이하로 내려온 것은 2019년 8월 12일(89.6) 조사 이후 2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매수)와 공급(매도)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이 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으면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시장에서는 팔 사람에 비해 살 사람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서울의 경우 87.0으로 8주 연속 지수가 하락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서울 지역 5대 권역의 지수가 일제히 지난주보다 낮아졌다. 지난 5월 초부터 시행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조치
[FETV=김진태 기자] SK에코플랜트가 60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를 발행하며 프리IPO(상장을 위한 사전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 1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전환우선주 발행을 위한 유상증자 결정 관련 주요사항 보고서를 이날 공시했다. SK에코플랜트가 오는 22일 제3자 배정증자 방식으로 발행할 예정인 전환우선주는 총 133만3334주다. 발행 대상자는 프리미어파트너스, 이음프라이빗에쿼티(이음PE) 등이다. 전환우선주는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권리가 부여된 우선주를 뜻하며, 국제회계기준(IFRS)상 자본으로 분류된다. 이에 SK에코플랜트는 지난달 발행한 4000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포함해 총 1조원 규모의 자본 확충에 성공하게 됐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기준 362%였던 부채비율도 300% 초반 수준으로 낮춰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SK그룹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기조에 적극 발맞춰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해왔으며, 지난 4월에는 대표 주관사 3곳과 공동주관사 2곳을 최종 선정해 IPO 절차에 본격 착수한 바 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이번 투자재원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