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장기영 기자] 재보험사 코리안리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세계 곳곳에서 잇따른 대형 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40% 이상 증가했다. 15일 코리안리가 공시한 개별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906억원으로 전년 동기 635억원에 비해 271억원(42.6%) 증가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1조5412억원에서 1조5536억원으로 124억원(0.8%), 영업이익은 807억원에서 1175억원으로 368억원(45.6%) 늘었다. 보험이익은 498억원에서 706억원으로 208억원(41.8%), 투자이익은 309억원에서 469억원으로 160억원(51.8%) 증가했다. 코리안리 관계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 미얀마 지진, 한국 영남지역 산불 등 일부 국가에서 대형 자연재해가 발생했으나, 지역별 수재 포트폴리오 분산과 언더라이팅 강화로 보험영업 수익성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투자영업 역시 운용자산 증가와 채권 보유이원 개선에 따라 호조세를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FETV=장기영 기자] 국내 생명보험업계 1위사 삼성생명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15일 삼성생명이 공시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지분)은 6353억원으로 전년 동기 6221억원에 비해 132억원(2.1%) 증가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7463억원에서 7540억원으로 77억원(1%) 늘었다. 보험이익은 2678억원에서 2777억원으로 99억원(3.7%) 늘었으나, 투자이익은 4786억원에서 4762억원으로 24억원(0.5%) 줄었다.
[FETV=장기영 기자] 미래에셋생명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 이상 감소했다. 15일 미래에셋생명이 공시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248억원으로 전년 동기 365억원에 비해 117억원(32.1%) 감소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478억원에서 394억원으로 84억원(17.6%) 줄었다. 보험이익은 6억원에서 315억원으로 309억원(5150%) 급증했으나, 투자이익은 472억원에서 79억원으로 393억원(83.3%) 감소했다.
[FETV=장기영 기자] 생명보험업계 ‘톱(Top)2’ 도약을 목표로 내건 신한라이프가 올해 1분기 3대 대형사인 한화생명을 상대로 당기순이익 역전에 성공했다. 올해 출범 4주년을 맞은 신한라이프는 이영종 사장의 혁신 전략에 따라 영업경쟁력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라이프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1656억원으로 전년 동기 1578억원에 비해 78억원(4.9%) 증가했다. 이 기간 보험이익은 2003억원에서 1890억원으로 113억원(5.6%) 줄었으나, 투자이익은 222억원에서 412억원으로 190억원(85.6%) 늘었다. 이에 따라 신한라이프는 3대 대형 생보사 중 하나인 한화생명을 상대로 당기순이익 역전에 성공했다. 같은 기간 한화생명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은 1755억원에서 1220억원으로 535억원(30.5%)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한화생명이 177억원 많은 당기순이익을 남겼지만, 올해는 신한라이프가 436억원 많은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신한라이프는 올해 1분기 보험이익과 투자이익 모두 한화생명을 앞섰다. 한화생명의 보험이익은 1042억원, 투자이익은 209억원이다. 신한라
[FETV=장기영 기자] 우리금융지주 품에 안긴 동양생명의 올해 1분기 보험손익이 적자로 전환했다. 15일 동양생명이 공시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462억원으로 전년 동기 736억원에 비해 274억원(37.2%) 감소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879억원에서 587억원으로 292억원(33.2%) 줄었다. 특히 보험손익은 405억원 이익에서 99억원 손실로 돌아서 적자 전환했다. 반면, 투자이익은 473억원에서 686억원으로 213억원(45%) 증가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지난 2일 정례회의에서 우리금융의 동양생명, 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승인했다.
[FETV=장기영 기자] 지난 3월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한 서울보증보험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 이상 감소했다. 15일 서울보증보험이 공시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지분)은 193억원으로 전년 동기 302억원에 비해 109억원(36.1%) 감소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392억원에서 273억원으로 119억원(30.4%) 줄었다. 보험이익은 23억원에서 30억원으로 7억원(30.4%) 증가했으나, 투자이익은 369억원에서 242억원으로 127억원(34.4%) 감소했다.
[FETV=장기영 기자] NH농협손해보험은 오는 8월까지 전국 약 150개 축사를 대상으로 ‘축사 화재 안전점검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페인 기간 전기설비 문제 등으로 인한 축사 화재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소화기 등 안전용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지난 14일 충남 홍성축산농협을 방문한 송춘수 농협손보 대표이사(오른쪽)가 이대영 조합장에게 안전용품을 기증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NH농협손해보험]
[FETV=장기영 기자] 신한라이프는 지난 14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차세대 최고경영자(CEO)를 위한 ‘NSC(Next Successful CEO) 아카데미’ 1기 수료식을 개최했다. 이번 아카데미에는 경영 승계를 준비하는 2·3세대 경영자와 스타트업 CEO 32명이 참여해 경영 혁신, 사업 확장, 리더십, 네트워킹 등으로 구성된 8주간의 교육과정을 수료했다. 수료식에 참석한 신한라이프 관계자와 아카데미 수료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신한라이프]
[FETV=장기영 기자] 국내 5대 대형 손해보험사의 올해 3월 말 평균 지급여력(K-ICS)비율이 210%로 하락했다. 메리츠화재와 KB손해보험은 2분기 연속 K-ICS비율이 낮아졌다. K-ICS비율이 상승한 삼성화재와 DB손해보험은 ‘기업가치 제고(밸류업·Value-up)’ 방안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200~220%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DB손보,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KB손보 등 5개 대형 손보사가 잠정 발표한 올해 3월 말 평균 K-ICS비율은 210.4%로 지난해 12월 말 211.8%에 비해 1.4%포인트(p) 하락했다. K-ICS비율은 요구자본 대비 가용자본의 비율로, 모든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청구했을 때 지급할 수 있는 여력을 나타낸다. 이 기간 대형 손보사의 평균 K-ICS비율이 낮아진 것은 메리츠화재, KB손보 등 2개 회사의 K-ICS비율이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메리츠화재의 K-ICS비율은 248.2%에서 239%로 9.2%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컸다. 지난해 9월 말 257%를 기록한 이후 2분기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KB손보의 K-ICS비율은 186.4%에서 182.1%로 4.3
[FETV=장기영 기자] 회생 불가 판정을 받은 부실 보험사 MG손해보험의 계약이 ‘가교보험사’를 거쳐 5대 대형 손해보험사로 이전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정례회의를 열어 MG손보의 신규 보험계약 체결 등을 금지하는 영업 일부정지 안건을 의결했다. 이번 신규 영업 정지 처분은 지난 2022년 4월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후 수차례 매각이 무산된 MG손보를 정리하기 위한 절차다. MG손보는 2018~2022년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을 미이행하는 등 자체 경영정상화에 실패함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됐다. 이후 공개매각을 진행했으나, 매각이 계속 무산되면서 부실이 누적됐다. 가장 최근에는 메리츠화재가 보험계약을 포함한 자산·부채 이전(P&A) 방식의 인수에 나섰으나, 노조의 매각 반대와 실사 지연, 무리한 고용 승계 요구 등으로 최종 무산됐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계약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MG손보를 정리하기로 결정했다. MG손보의 계약은 예금보험공사가 설립한 가교보험사를 거쳐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5개 대형 손보사로 이전된다. 올해 3월 말 기준 MG손보의 계약자 수는 121만명, 보유계약은 151만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