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나연지 기자] 삼성전자가 21~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ES 2025(한국전자전)’에서 생활공간 전반에 적용된 최신 AI 기술을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집·교실·매장 등 실제 환경을 재현해 공간별 맞춤형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입구에는 대형 LED 미디어 파사드가 설치됐고, 내부는 디스플레이·가전 중심으로 구성됐다. 삼성전자는 초미세 RGB 기술로 구현한 ‘마이크로 RGB TV’를 전면에 내세워 화질 경쟁력을 강조했다. TV 내장형 AI 비서 ‘비전 AI 컴패니언’은 사용자의 질문에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퍼플렉시티 등 외부 AI 서비스도 연동된다. ‘AI 홈’ 전시존에서는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가전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스마트 루틴’을 시연했다. 냉장고의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은 식재료를 인식해 레시피를 추천하고, ‘AI 절약모드’는 에너지 사용을 최대 60% 절감한다. 침실 공간에서는 커튼·조명·공기청정기를 수면 패턴에 맞춰 자동 조정하고,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수면 코칭’ 기능도 제공했다. ‘갤럭시 AI 클래스’에서는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의 생성형 편집, 제미나이 라이브 기능을
[FETV=이신형 기자] 삼성SDI가 지난 20일 기흥사업장에서 전기안전공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특히 글로벌 ESS용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SDI와 에너지 안전 책임 전문기관인 전기안전공사가 손을 잡아 ESS 안전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이와 관련해 전기안전공사는 "삼성SDI는 최근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체 발주 물량의 약 80%를 수주할 만큼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효과적인 ESS 사고 예방 체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업무 협약서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자의 자율적 참여 유도 ▲전문인
[FETV=나연지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타이어 전문 계열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폭스바겐그룹 산하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Cupra)의 전기 해치백 ‘본(Born)’에 전기차 전용 퍼포먼스 타이어 ‘아이온 에보(iON evo)’를 신차용 타이어(OET·Original Equipment Tire)로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쿠프라 ‘본’은 후륜구동 전기모터 기반으로 최고출력 약 230마력, 제로백 6.6초, 1회 충전 주행거리 최대 551km의 성능을 갖춘 대표 전기차 모델이다. 스포티한 디자인과 공기역학적 설계로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쿠프라와 협업해 전기 해치백 특성에 맞춘 ‘아이온 에보’를 개발했다. 20인치 규격으로 공급되는 해당 제품은 독자 기술 체계인 ‘아이온 이노베이티브 테크놀로지(iON INNOVATIVE TECHNOLOGY)’를 적용해 저소음, 고마일리지, 그립력, 저회전저항 등 4대 성능을 균형 있게 구현했다. 최적 EV 형상 기술로 코너링 강성을 10% 높였으며, 아라미드 하이브리드 보강벨트 적용으로 고속 주행 안정성을 확보했다. 실내 저소음 특화 기술로 주행 소음을 최대 18% 줄였고,
[FETV=나연지 기자] 삼성전기 황치원 상무(패키지개발팀장)가 21일 ‘제20회 전자·IT의 날’ 시상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황 상무는 2011년 삼성전기에 입사해 20여 년간 반도체 패키지기판(Package Substrate) 선행기술 개발을 이끌며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그는 전력 효율과 고성능을 동시에 구현한 신규 패키지 구조와 수율 향상 기술을 확보해 원가·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했다. 또한 Coreless 기판, Si Cap 내장 기판, ARM CPU용 패키지 등 차세대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AI·클라우드·전장 등 미래 성장 시장을 겨냥한 SoS(System on Substrate) 기술 개발을 선도했다. 삼성전기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톱티어 수준의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확보했다. 황 상무는 부산 개발 거점을 중심으로 신규 생산시설 확충에도 참여, 생산 경쟁력과 글로벌 고객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황 상무는 “이번 수상은 삼성전기의 패키지기판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AI·클라우드·전장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고성능 반도체 패키지기판 기술을 지속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FETV=나연지 기자]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CEO)가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전자·IT의 날’ 행사에서 최고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해당 훈장은 국가 산업 발전에 뚜렷한 공로가 있는 기업인에게 수여되는 정부 포상 중 최고 등급이다. 조 대표는 1987년 금성사(현 LG전자)에 입사한 이후 37년간 재직하며 국내 전자산업의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2021년부터 CEO를 맡아 생활가전 분야의 글로벌 1위 지위를 공고히 했고, 전장사업에서는 글로벌 완성차 상위 10개 업체 중 8곳을 고객사로 확보하며 수주잔고 100조원을 달성했다. LG전자는 조 대표 취임 이후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며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이어가고 있다. 생활가전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전장·냉난방공조 등 B2B ▲가전구독·webOS 등 Non-HW ▲온라인 사업을 중심으로 질적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인도 등 글로벌 사우스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 법인 상장을 마무리하며 신흥시장 성장 기반을 다졌고, 북미·중남미·중동 등에서는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과 히팅 시스템 중심의 B2B 수주를 확대 중이다.
[FETV=신동현 기자] 한컴그룹 계열사 한컴위드가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리는 ‘2025 국제치안산업대전(KPEX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반 ‘딥페이크 통합 탐지 시스템’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경찰청 R&D 과제를 공동 수행 중인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진행된다. 경찰청이 주최하는 국제치안산업대전은 첨단 AI 보안기술과 스마트 치안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보안·치안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컴위드는 경찰청이 추진 중인 국제공동연구 과제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판별 시스템 개발’의 국내 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은 숭실대, 연세대, 성균관대가 공동 수행하며, 독일 부퍼탈대학교가 해외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2027년까지 3년간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생성형 AI 확산으로 급증하는 허위조작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셋 구축과 통합 탐지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한컴위드는 이번 전시에서 관람객이 직접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딥페이크 음성 탐지 게임’을 통해 실제 음성과 AI가 만든
[FETV=이신형 기자] 삼성중공업은 이번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코마린 2025'에 참가한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선박 디지털 솔루션 관련 기술 인증을 다수 획득하며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코마린은 한국에서 열리는 조선해양 에너지산업 전문 전시회로 SMM(독일), 노르쉬핑(노르웨이), MARINTEC(중국)과 함께 세계 주요 전시회다. 행사 첫 날 삼성중공업은 일본 NK 선급으로부터 자율항해 시스템 'SAS(Samsung Autonomous Ship)'의 TQ(Technology Qualification)를 받는다. TQ는 새로운 혁신 기술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부여하는 기술 자격 인증으로 TQ 획득 제품은 국제적 안전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아 시장 내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할 수 있다. 국내 조선업계에서 일본 선급으로부터 자율항해시스템 기술 자격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날 선박 유지보수 솔루션 'SCBM(Samsung Condition Based Maintenance)'은 미국 ABS 선급으로부터 Smart MHM (Machinery Health Monitoring) Tier2 제품
[FETV=김선호 기자] 셀트리온은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260억원, 영업이익 3010억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6.3%, 영업이익은 44.9% 증가해, 역대 최대 3분기 매출 및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도 29.3%를 기록해 뚜렷한 실적 개선을 이어갔다. 매출 및 영업이익 양면에서 호실적을 낸 배경에는 글로벌 전역에 걸쳐 주요 제품 판매가 안정적으로 이뤄진 가운데 신규 제품들의 판매가 확대된 결과로 분석된다.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를 비롯한 고수익 신규 제품이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확대를 견인했다. 이들 고수익 제품의 경우 작년 3분기 기준 전체 대비 42% 수준이었던 매출 비중이 올 3분기에는 54%까지 확대되며 이익률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이 가운데 올 3분기 미국과 유럽에 각각 신규 출시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가 판매 첫 분기에만 5백억원이 넘는 합산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입증했다. 특히, 이번 실적에서는 과거 셀트리온헬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는 신규 인터넷 요금제 ‘너겟 라이트’를 정식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너겟 라이트’는 기존 인터넷 요금제 대비 월 최대 6600원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약정 기간을 기존 최대 3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IPTV와 유·무선 결합 서비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요금제는 지난 3월 신혼부부와 예비 부부를 대상으로 한 ‘다이렉트 신혼 프로모션 인터넷 요금제’로 처음 선보였다. 당시 이용자들의 호응이 높아 일반 고객의 가입 문의가 이어지면서 LG유플러스는 혜택을 유지한 채 전 고객을 대상으로 정식 출시했다. 5년 약정과 IPTV 결합 기준으로 ▲100M 상품은 기존보다 4400원 저렴한 월 2만3100원 ▲500M 상품은 6600원 저렴한 2만7500원 ▲1G 상품은 6600원 저렴한 3만30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500M 이상 상품 가입 고객에게는 ‘기가 와이파이’ 단말기 2대가 함께 제공된다. 또한 가입 경로도 확대됐다. 기존에는 공식 온라인몰 ‘유플러스닷컴’을 통해서만 가입이 가능했지만, 이번 정식 출시 이후 고객센터(101)에서도 가입할 수 있다. 오인호 LG유플러스 홈사업담당 상무는 “고객 요청을 반영
[FETV=김선호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 사장)와 중국 바이오텍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가 항체-약물 접합체1)(ADC) 분야 후보 물질 개발 및 제조,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프론트라인은 항암제 분야의 차세대 ADC 유망 기술로 꼽히는 이중 항체-이중 페이로드(Bispecific and Dual-payload) 기술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 계약에 따라 프론트라인이 보유한 파이프라인 2종의 공동 개발권을 확보했다. 또한 이와 별도로 페이로드(Payload: ADC 의약품의 암세포 사멸 약물) 1건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다른 개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독점적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공동 개발이 확정된 파이프라인 'TJ108'은 토포이소머라제-1 억제제2) 및 튜불린 억제제3) 기반의 치료제로, 다양한 암에서 과발현되는 EGFR(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과 HER3(인간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3)를 모두 표적으로 하는 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후속 개발 파이프라인은 양 사 협의를 통해 도출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사장은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