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성우창 기자] 서학 개미들의 해외 주식 투자 열기가 이어지면서 1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이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국내 투자자의 예탁원을 통한 1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이 1천16억8천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1.08%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해외시장별 보관금액은 미국이 전체 보관금액의 69.22%(703억8000만달러)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외화채권을 제외하고 외화 주식만 보면 미국이 전체 보관 규모의 87.43%(693억5천만달러)를 차지했다. 외화주식 보관금액 상위종목은 모두 미국 주식이 차지했으며 테슬라(168억6만달러), 애플(54억8300만달러), 엔비디아(33억5600만달러), 알파벳A(25억2200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24억9300만달러) 순이었다. 특히 상위 10개 미국 주식의 보관금액은 총 380억달러로 전체 외화주식 보관금액(793억2000만달러)의 47.91%를 차지했다. 증시 불안정성이 부각되며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1106억9000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14.45% 감소했다. 시장별 결제금액은 미국이 전체의 82.95%(918억2000만달러)를 차지했고, 외화 주식만 놓고 봐도 미국이
[FETV=성우창 기자] 4월 상장지수펀드(ETF) 분배락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자 '고배당주'로 구성된 상품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ETF는 포트폴리오 내 보유 주식에서 발생한 현금 배당을 모아 분배금으로 지급한다. ETF 운용사는 순차적으로 입금된 배당금과 이자 수익을 현금 자산으로 쌓아 분배금을 일시 지급하며,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번 달은 오는 28일이 분배락일이며, 27일까지는 ETF를 매수해야 분배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배당률이 높을수록 분배금도 커진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고배당 ETF는 총 16종이 상장됐다. 이중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고배당주'이 전날 기준 순자산총액(AUM) 2084억 규모로 가장 많이 팔린 것을 알 수 있다. 분배금은 지난해 주당 590원(시가 대비 분배율 4.88%)을 지급해 높은 편인데다, 연간 총 보수율은 0.230%로 낮은 편이다. 시가 대비 가장 높은 분배율을 보인 상품은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 고배당'으로 지난해 총 530원을 지급했고, 4월 기준 분배율만 5.58%에 달했다. 단 높은 분배율만큼이나 연간 총 보수율도 0.400%로 높은 축에 속했다. 분배금 규모만
[FETV=성우창 기자] 대신증권은 지인에게 대신증권 추천 종목을 선물하면 추첨을 통해 해당 기업이 만든 대표 상품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가정의 달 맞이 주식 선물하기' 이벤트를 한다고 21일 밝혔다. 대신증권은 추천종목으로 LG전자, 호텔신라,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CJ 등 다섯 종목을 선정하고, 추첨을 통해 노트북(1명), 호텔숙박권(3명), 스마트워치(5명), 화장품(10명), 외식상품권(40명)을 제공한다. 이벤트는 오는 5월 27일까지 5주간 진행된다.
[FETV=성우창 기자] 삼성증권은 최대 세전 연 10.24%의 수익을 추구하는 온라인 전용 주가연계증권(ELS)을 오는 28일 오후 1시까지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ELS 27967회'는 홍콩(HSCEI), 일본(NIKKEI225), 유럽(EUROSTOXX5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3년 만기의 상품이다. 만기까지 세 지수가 모두 최초 기준가의 5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세전 연 10.24%의 수익을 지급한다. 스텝다운 구조로 3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가 주어진다. 세 지수가 모두 설정 시 기준가의 95%(3, 6개월), 90%(9, 12, 15, 18개월), 85%(21, 24, 27, 30개월), 80%(33개월), 75%(36개월) 이상이면 세전 연 10.24%를 지급하고 상환된다. 같은 기간 모집하는 온라인 전용 ELS 27968회는 한국(KOSPI200), 유럽(EUROSTOXX50), 홍콩(HSCEI)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스텝다운 구조의 3년 만기의 상품이다. 6개월마다 조기 상환 기회가 주어진다. 세 기초자산 모두 만기까지 최초 기준가의 4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세전 연 8.24%를 지급하고 상환된다. 전문
[FETV=성우창 기자] 신영증권은 연결 기준 연간 영업이익이 1181억원으로 전년 대비 54.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0일 공시했다. 매출(2조1796억원)과 당기순이익(899억원)도 각각 23.7%, 54.2% 줄었다. 신영증권은 3월 결산법인으로 이번 실적은 작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의 결과다. 신영증권은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등의 여파로 전년 대비 운용 수익이 감소하면서 수익이 다소 줄었지만, 우호적 시장 여건으로 유난히 좋았던 지난 회계연도를 제외하면 양호한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FETV=성우창 기자] 미래에셋증권은 임직원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환경캠페인 'm.플로깅' 활동을 오는 5월 13일까지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플로깅이란 스웨덴어 '플로카 업'(Plocka Upp, 이삭을 줍다)과 영어 '조깅'(Jogging)의 합성어다. 산책을 즐기면서 쓰레기를 주우며 생활 속 친환경을 실천하는 활동을 말한다. 미래에셋증권은 환경보호와 임직원 간의 소통을 활성화하고자 m.플로깅을 기획했다. 임직원들은 신청을 통해 서울 을지로 본사 인근 청계천, 덕수궁, 인사동, 여의도, 남산 둘레길 등 인근 지역에서 총 10차례에 걸쳐 플로깅 행사에 참여한다. 가족과 함께 플로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 선한 영향력 전파에도 힘을 보탰다. 가족과 함께하는 플로깅 활동은 지역에 상관없이 플로깅 활동 인증 사진을 제출하면 참여가 인정된다. 이번 환경캠페인은 참여 인원수와 매칭해 기부금액을 산정한 뒤 울진, 삼척 산불 피해지역 숲 복원단체에 기부할 계획이다. 이미 최현만 회장을 비롯해 700여명의 임직원들이 참여 신청을 진행해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 회장은 "따뜻한 자본주의 실천을 위한 미래에셋증권의
[FETV=성우창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전체 펀드의 순자산이 단기금융펀드와 공모주펀드를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2년 1분기 펀드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체 펀드의 순자산은 857조4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25조5000억원(3.1%) 증가했다. 순자산은 설정액에 시장 가치 등을 반영한 결과다. 지난달 말 기준 설정액은 822조3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33조9000억원(4.3%) 증가했다. 공모펀드의 순자산이 321조원, 사모펀드의 순자산이 536조4000억원으로 각각 8조9000억원(2.9%), 16조5000억원(3.2%) 늘었다. 유형별로 보면 단기금융펀드의 순자산이 153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3.1%(17조8000억원) 증가해 유형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협회는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투자를 유보하고 관망하는 대기자금이 머니마켓펀드(MMF)로 이동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혼합채권형펀드도 공모주 펀드를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순자산이 24조8000억원을 기록, 전 분기 대비 4.3%(1조원)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1월 한 달간 혼합채권
[FETV=성우창 기자] 한국과 중국 반도체주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중국 반도체주들은 3년만의 생산량 감소와 세계 1위 항만 도시인 상하이 봉쇄로 급락했다. 반면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주들을 업황 개선에 기대감과 저평가 인식 등에 오름세를 타고 있다. 20일 홍콩 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SMIC의 주가는 1.69% 하락한 16.32홍콩달러로 마감했다. 화홍반도체는 2.94% 하락한 29.70홍콩달러였다. 코로나19에 의한 생산량 감소 및 상하이 봉쇄 장기화 영향으로 투심이 저하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교란으로 지난 1분기(1~3월) 반도체 생산량이 3년 만에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중국 1·2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와 화홍반도체의 생산시설이 위치한 상하이시가 지난달 말부터 정부 명령으로 봉쇄, 향후 공급에 더욱 큰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같은 날 국내 파운드리 대장주 삼성전자는 0.90% 오른 6만7300원에, SK하이닉스는 3.21% 오른 11만2500원으로 상승 마감했다. 'KRX 반도체 지수'는 3.53% 오른 3767.78을 기록했다. 이달 초 3700선에서
[FETV=성우창 기자] 삼성증권은 초개인화한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 '굴링'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투자가가 투자 목표, 기간, 기대수익률, 금액만 입력하면 로보알고리즘이 거래 패턴을 분석해 최대 1만6000개 포트폴리오 중 최적 투자 제안을 제공한다. 포트폴리오는 국내외 주식, 채권, 인프라 등에 분산해 최대 7가지 상품에 투자하도록 설계된다. 상품별로 교체할 수 있는 대안 상품도 3개씩 제공된다. 현재 편입 상품은 과거 성과와 운용 규모 등을 기준으로 엄선한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473개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사용하는 콘텐츠 큐레이션 형태의 초개인화 서비스를 자산 관리에 접목했다고 삼성증권은 설명했다. 김상훈 삼성증권 디지털마케팅담당 상무는 "'굴링'을 통해 1대 1 프라이빗뱅커(PB) 자산관리에 준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포트폴리오 투자의 대중화 시대를 여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FETV=성우창 기자] 키움증권이 세종텔레콤과 비브릭(BBRIC)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 (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코스닥 상장 기업 세종텔레콤은 부동산, 마이데이터, 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세종텔레콤 컨소시엄(세종텔레콤, 비브릭(B-BRICK), 이지스자산운용, 디에스네트웍스자산운용)은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되어 ‘비브릭(BBRIC)’ 서비스 관련 공동 사업을 추진 중이다. 비브릭은 소액으로 간편하게 부동산 조각투자가 가능한 서비스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부동산 펀드의 수익증권을 디지털증서화해 비브릭 앱을 통해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했으며, 개인간 거래를 통해 쉽게 현금화 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지난 11일 첫 투자 매물로 부산 초량동에 위치한 ‘초량 MDM’ 타워는 오는 25~27일 사이 청약이 예정됐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양사는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부동산 집합투자 및 수익배분 서비스(비브릭) 사업 공동 추진 ▲디지털 자산거래 플랫폼, 부동산 상품 개발 및 계좌 관리 관련 논의 ▲금융과 블록체인을 결합한 협업 과제 발굴 및 수행 등 키움증권의 폭넓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