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유형별 자금 유출입 현황 (단위: 십억원) [자료 금융투자협회]](http://www.fetv.co.kr/data/photos/20220416/art_16504181037758_734509.jpg)
[FETV=성우창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전체 펀드의 순자산이 단기금융펀드와 공모주펀드를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2년 1분기 펀드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체 펀드의 순자산은 857조4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25조5000억원(3.1%) 증가했다. 순자산은 설정액에 시장 가치 등을 반영한 결과다. 지난달 말 기준 설정액은 822조3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33조9000억원(4.3%) 증가했다.
공모펀드의 순자산이 321조원, 사모펀드의 순자산이 536조4000억원으로 각각 8조9000억원(2.9%), 16조5000억원(3.2%) 늘었다. 유형별로 보면 단기금융펀드의 순자산이 153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3.1%(17조8000억원) 증가해 유형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협회는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투자를 유보하고 관망하는 대기자금이 머니마켓펀드(MMF)로 이동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혼합채권형펀드도 공모주 펀드를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순자산이 24조8000억원을 기록, 전 분기 대비 4.3%(1조원)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1월 한 달간 혼합채권형펀드에 2조원이 넘는 자금이 순유입됐다가 이후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의 긴축 기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등의 악재가 덮치며 주식형펀드의 순자산은 전 분기 대비 4조4000억원(4.0%) 감소한 10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국내주식형 펀드가 4조원(5.7%) 감소한 67조원, 해외주식형 펀드가 4000억원(0.9%) 감소한 39조4000억원이었다. 해외주식형 펀드의 경우 순자산이 1월에 급감했다가 증시 반등을 기대하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작년 말 수준을 회복했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통화긴축 기조에 채권형펀드의 순자산도 전 분기 대비 1조7000억원(1.3%) 감소한 128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채권형펀드가 0.7%(9000억원) 감소한 121조4000억원, 해외 채권형펀드가 11.3%(8000억원) 줄어든 6조7000억원으로 해외 채권형펀드 순자산의 감소가 더 두드러졌다.
유형별 순자산 비중으로는 단기금융(17.9%·153조8000억원), 부동산(16.3%·139조5000억원), 채권형(14.9%·128조1000억원), 특별자산(14.3%·123조원) 순으로 컸다. 자금유출입 현황을 보면 1분기 전체 펀드 시장에 34조9000억원이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금융펀드에 17조2000억원, 부동산펀드에 3조3000억원, 특별자산펀드에 3조3000억원, 주식형펀드에 2조원이 각각 유입됐다. 반면 채권형펀드는 330억원 순유출을 기록해 유형 중 유일하게 자금이 빠져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