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여신 건전성 점검] 수협은행, 경영전략 '수익성→내실경영' 수정

신학기 행장, '건전성' 최우선 가치...기초체력 강화 방점
이준석·오미석 부행장, 자금지원·리스크 두 토끼 잡아야

[편집자주] 금융사들의 기업여신 부실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고 있다. 부실채권 규모 증가와 함께 국제정세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 요청까지 이어지면서 리스크 관리의 난이도는 한층 더 높아졌다. 이에 FETV는 주요 금융사별 기업여신 현황과 중책을 맡은 담당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FETV=임종현 기자] Sh수협은행이 수익성 중심 전략에서 내실경영으로 방향을 선회한다.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은행의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는 방침이다.

 

신학기 수협은행장은 올해 초 건전성·안전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성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재무 건전성 확보 등을 통해 장기적인 도약 기반을 다지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신학기 행장은 은행 내 대표적인 경영전략·재무 전문가다. 2020년 수석부행장에 선임돼 경영전략그룹 운영과 최고재무책임자(CFO) 역할을 담당했다. 지난해 11월 은행장으로 취임했다. 신 행장과 손발을 맞추게 된 여신지원·리스크관리그룹장 역시 해당 분야 전문가로 신 행장의 경영 기조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고정이하여신 비율 0.82%p...특수銀 평균보다도↑

 

수협은행 경영공시에 따르면 수협은행 총여신 규모는 2022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2년 동안 9.8% 성장했다. 같은 기간 기업여신은 9.67%, 가계여신은 10.2%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말 기준 수협은행의 총여신은 45조6128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업여신이 26조2318억원, 가계여신은 19조267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수협은행의 고정이하여신(NPL) 규모는 3837억원으로 전년(84.6%) 보다 급증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84%로 전년(0.56%) 대비 0.28%포인트(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주요 특수은행(기업·농협·산업)의 고정이하여신 비율 평균(0.82%)을 감안하면 0.02%p 높은 수준이다. 특수은행은 일반은행과 달리 자금 공급이 쉽지 않은 곳에 돈을 조달하는 목적을 갖고 설립됐다. 

 

 

기업 중심으로 부실이 늘어나면서 건전성 지표가 악화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지난해 말 기업 고정이하여신은 2494억원으로 전년(1504억원) 보다 65.8% 증가했다. 기업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95%로 전년(0.57%) 대비 0.38%p 상승했다. 가계여신은 1300억원으로 전년(935억원) 대비 39% 늘었다. 가계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67%로 전년(0.51%) 대비 0.16%p 올랐다.

 

무수익여신도 비슷한 양상이다. 수협은행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은 1995억원으로 전년(1401억원) 보다 42.3% 증가했다. 무수익여신 비율은 0.44%로 전년(0.31%) 대비 0.13%p 올랐다.

 

기업 무수익여신은 1312억원으로 전년(898억원) 대비 46.1% 증가했다. 기업 무수익여신 비율은 0.50%로 전년(0.34%) 대비 0.16%p 늘었다. 가계 무수익여신은 641억원으로 전년(450억원) 보다 42.4% 증가했다. 가계 무수익여신 비율은 0.33%로 전년(0.25%) 대비 0.08%p 올랐다.

 

연체율도 상승세를 기록했다. 수협은행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0.57%로 전년(0.44%) 대비 0.13%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0.61%로 전년(0.48%) 보다 0.13% 증가했으며 가계대출 연체율은 0.48%로 전년(0.31%) 대비 0.17%p 올랐다.

 

경기 상황이 악화하자 수협은행의 대출채권 매각 규모도 증가했다. 지난해 말 수협은행의 대출채권 매각액은 4256억원으로 전년(1720억원) 대비 163% 급증했다. 이중 기업자금대출금 및 기타대출금에서만 3942억원을 매각했다. 전체 매각액의 약 92%를 차지했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회수 가능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해 건전성 관리를 위한 측면에서 대출채권 매각이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환리스크 노출 기업 등 모니터링 강화..."건전성 관리 전력"
 

수협은행의 여신·리스크 부문을 책임지고 있는 두 그룹장은 이준석 여신지원그룹장(부행장)과 오미석 리스크관리그룹장(부행장)이다. 특수은행 특성상 정책자금 집행 차원에서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에게 자금을 공급함과 동시에 철저한 리스크관리리라는 균형 있는 대응이 요구되는 만큼 이들의 어깨도 무겁다.

 

 

수협은행은 지난 2023년 12월 여신지원그룹장에 이준석 부행장을 선임했다. 이 부행장은 1968년생으로 경남대학교에서 무역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수협중앙회에 입사해 해양투자금융센터 팀장, 테헤란로금융센터장, 여의도종합금융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이 부행장은 주요 금융센터와 여의도종합금융본부 등 수협은행의 일선 영업점에서 현장 경험이 풍부하며 투자금융 경력도 보유하고 있다. 여신지원그룹은 여신기획부, 여신관리부, 심사부로 구성돼있다.

 

여신기획부는 여신운용 종합 정책 수립·조정·통제하며 여신 관련 제규정 관리 및 관련한 영업점 업무를 지원한다. 여신관리부는 부실채권 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여신관리 제규정 및 관련 엉업점 지원 업무를 수행하며 심사부는 심사 업무에 관한 종합 기획을 수립하고 여신심사 및 승인 업무를 한다.

 

오미석 리스크관리그룹장은 1970년생으로 수협중앙회에 입회한 후 자산관리, 금융센터, 감사팀 등 주요 부서를 두루 거쳐 지난해 12월 부행장으로 승진했다. 리스크관리그룹은 리스크관리부, 여신감리부, 적합성검증팀으로 구성됐다.

 

리스크관리부는 은행 전체 리스크 파악·측정하고 통제, 보고업무를 수행하며 리스크관리위원회 및 협의회를 보좌한다. 여신감리부는 은행 내 여신과 관련한 업무 전반을 감사하는 기능을 가지며 여신 심사, 승인, 운영 및 정책 등을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적합성검증팀은 독립적인 입장에서 적응 대상의 설계, 개발에서 운영까지의 제반 사항을 검증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환리스크 노출 기업에 대해 환헤지 컨설팅 강화 및 업종별 민감도를 반영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잠재 부실기업 조기 선정을 통해 건전성 관리에 전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