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신규 비전과 미션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CJ제일제당 제공]](http://www.fetv.co.kr/data/photos/20240625/art_17188709381285_74fca3.jpg)
[FETV=박지수 기자] CJ제일제당 계열사 CJ바이오사이언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오는 2026년까지 기술 수출 3건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열린 ‘2024 뉴 비전 선포식’에서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과학을 활용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새 비전은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과학기술을 통해 신약개발, 웰니스 사업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또한 ‘온리원(ONLYONE) 치료제와 솔루션을 통해 인류의 건강에 기여한다’는 새로운 미션도 발표하며, 치료부터 예방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 주기에 걸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또 AI기술이 집약된 ‘이지엠(Ez-Mx®) 플랫폼’을 고도화해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신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지엠 플랫폼을 통한 신약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핵심 파이프라인인 CJRB-101은 키트루다와 병용요법으로 폐암, 두경부암 등을 적응증으로 하며, 국내에서 1·2상을 동시에 진행 중이다. 미국에서는 올해 3분기부터 임상을 시작해 다국가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101로 약 56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암 시장을 우선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며, 퇴행성 뇌질환(CJRB-302), 염증성 질환(CJRB-201) 등 관련 후속 파이프라인까지 개발해 2026년까지 기술수출 3건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는 “CJ바이오사이언스는 지속적인 임상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와 AI 관련 역량을 오랜 기간 축적해 왔다”며 “새로운 AI 시대를 맞아 디지털에서 인공지능으로의 전환(AX)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의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