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7월부터 서울시내 재건축·재개발 시공사 선정 시기가 현행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앞당겨짐에 따라 수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수주 양극화도 심해질 전망이다. 수익성이 예상되는 핫 스팟(수익지역)의 공사 수주에는 경쟁이 치열한 반면 낮은 곳은 경쟁이 그리 치열해질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서울시의 개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안'이 시행되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의 시공사 선정 시기가 현행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크게 당겨진다.
이럴 경우 정비사업의 시공사 선정 시기가 종전보다 최소 1∼2년가량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건설업계에선 시공사 보증으로 사업 초기부터 사업비 조달(대출), 인허가 등 사업 절차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내다본다.
현재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곳은 116개 단지에 이른다. 7월부터 이들 상당수가 시공사 선정을 본격화 할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시 정비사업 정보공개 현황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가운데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곳은 116개 단지에 달한다.
때문에 서울지역 정비사업 수주에만 참여하고 있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 등이 더욱 수주전에 고삐를 죌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