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519/art_16838627240863_ee1c47.jpg)
[FETV=권지현 기자]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금전신탁과 요구불예금에서 자금이 빠지면서 3월 통화량이 한 달 만에 다시 줄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3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3월 평균 광의통화량(M2 기준)은 3810조4000억원으로 2월보다 0.2%(9조1000억원) 감소했다. M2 통화량은 2월(0.3%) 반등했으나 한달 만에 다시 감소 전환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한은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3월에 세금 납부, 재무비율 관리, 4월 배당지급 준비 등으로 자금 수요가 많은 기타금융기관과 기업 등이 자금을 빼면서 통화량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자료 한국은행]](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519/art_16838620911622_012ec6.jpg)
금융상품 중에서는 금전신탁과 요구불예금이 각 8조3000억원, 4조1000억원 줄었다.
반면 2년 미만 정기 예·적금과 MMF에서는 각 4조2000억원, 1조5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정기 예·적금 증가 폭(4조2000억원)은 예금금리가 내려 2월(6조8000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경제주체별로는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17조8000억원, 기업에서 11조8000억원이 빠져나갔다. 가계·비영리단체와 기타 부문에서는 8조9000억원, 5조4000억원씩 통화량이 늘었다. 가계·비영리단체의 경우 비(非)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정기 예·적금이 주로 불었고, 기타부문의 경우 지방교부금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은 1191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0.5%(6조원) 줄었다. 2022년 6월 이후 10개월째 감소세로, 한은은 요구불예금 감소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