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美 2032년 신차 중 전기차 67%…K-배터리 "IRA 호재"

 

[FETV=박제성 기자] 미국 정부가 2032년까지 자국 내 신차 비중의 67%를 전기차로 탈바꿈 하겠다고 선언함에 따라 K-배터리 기업이 향후에는 더욱 미국 시장의 청신호 켜질 전망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오는 12일(현지시간) 승용차 및 소형트럭 탄소 배출 규제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2027∼2032년 판매 차량의 배출가스 한도를 제한한다. 사실상 2032년까지 신차를 10대 중 6.7대꼴로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선언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과 맞물려 이미 미국 현지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판매가 확대되면 배터리를 공급하는 입장에서는 수요가 늘어나고 가동률이 올라갈 수 있어 좋다"라며 "수요 증가에 대응해 미국 공장 가동과 소재 조달 등을 준비하고 있다" 말했다.

 

미 바이든 정부가 강조하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더불어 탄소배출 규제 보폭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K-배터리 3인방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도 북미 전기차 시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 분명하다. 올해 본격 IRA 법안 시행에 따른 친환경 제품에 경우 세제혜택을 지원받는다. 향후 신차 중 전기차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K-배터리 IRA에 대한 세제 혜택이 강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북미를 타깃으로 한 신공장 증설 등배터리 밸류체인(공급망)에 총력전을 띄울 방침이다.

 

올해 1분기부터 재무제표상 본격 IRA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가 반영하기 시작했다. LG에너지솔루션영업이익은 IRA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예상 금액이 1000억원 이상으로 추산한다. 

 

하이투자증권 정원석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에 지급할 연간 AMPC 규모는 2023년 1조원, 2024년 2조6000억원, 2025년 4조9000억원 규모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2030년 미국의 전기차 전환율 60% 이상일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의 점유율을 30%로 잡으면 추정 생산량(캐파)은 연간 600GWh 규모로 전망된다. 이는 2023~2030년 AMPC 누적 금액은 94조원으로 추산한다. 같은기간 삼성SDI와 SK온의 AMPC 추정 금액은 각각 40조원, 45조원으로 추산한다.

 

삼성SDI의 유럽 5위 규모의 완성차 업체인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합작공장은 2025년부터 가동 예정이다. 이로 인해 2025년부터 합작공장은 2025년부터 반영된다.

 

전혜영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스텔란티스 합작공장은 2025년 가동 예정으로 AMPC에 대한 기대감은 경쟁사 대비 느리게 반영될 전망"이라며 "신규 고객사와의 북미 공장 설립 논의가 이뤄지고 있어 대규모 증설이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SK온 포드와 합작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현재 미국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배터리 생산기지 3곳을 구축하고 있다. 2025년 이후부터 AMPC 잔치가 예고되고 있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SK온이 받게 될 AMPC 혜택을 2023년 4201억원, 2024년 6429억원, 2025년 3조30000억원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