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겨울철에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개인위생과 식품위생 관리에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한다고 18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발생은 연간 평균 40건이며 이중 50%(20건)가 겨울철(12~2월)에 발생하고 있다. 또 겨울철 식중독 환자 수는 연간 평균 9백여명으로 이중 약 55%(496명)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환자였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 등에 의해 채소, 과일류, 패류 등이 오염되어 음식으로 감염될 수 있고, 노로바이러스 감염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오래 생존하고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될 수 있다. 환자의 건조된 구토물이나 분변 1g에는 약 1억 개의 노로바이러스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 환자의 침, 오염된 손으로 만진 문손잡이 등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자가 식품 조리에 참여할 경우 음식물이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식약처는 화장실 사용 후
비린내 없이 콩비지찌개를 끓이는 레시피에 관심이 모인다. 11월 3일 방송된 KBS 2TV ‘생생정보’ 황금레시피에서는 콩비지찌개 만드는 방법이 소개됐다. 콩비지 찌개를 끓일 때는 콩비지, 신김치, 김치국물, 간 돼지고기(뒷다리 살), 다진 청양고추, 고춧가루, 참깨, 새우젓, 설탕, 참기름, 대파가 필요하다. 먼저 콩비지 한 팩을 그릇에 짜고 간 참깨 1큰술과 물 1컵을 넣고 잘 섞는다. 적당히 농도를 잡아주면 직접 간 것처럼 고소한 콩비지가 된다. 간 돼지고기와 신김치, 김치국물은 1:1.5:0.5의 비율로 준비하고 용기는 뚝배기가 좋다. 강한불에 올린 뚝배기에 김치와 돼지고기, 김치 국물을 넣고 조금 볶다가 중간 불로 줄인 뒤 콩비지를 한 대접 넣고 볶는다. 이어 참기름 3큰술 넉넉하게 두르고 중간 불에서 6분간 타지 않게 저어주며 끓이는 것이 중요하다. 비린내 제거를 위해 물 1컵을 넣고 3분간 저으며 끓여준다. 이때 다진 청양고추와 새우젓을 넣고 계속 젓는다. 콩과 궁합이 좋은 새우젓으로 간을 하면 소화도 더 잘 되고 느끼한 맛도 잡아준다. 마지막으로 설탕을 조금 넣어 감칠맛을 살린다. 파와 고춧가루로 마무리하면 콩비지찌개가 완성된다. 한편, 콩비지
요리연구가 백종원이 소개한 누드김밥을 만드는 방법에 눈길이 모인다. 백종원은 9월 8일 방송된 tvN ‘집밥 백선생’에서 누드김밥 만드는 레시피를 공개했다. 누드김밥을 만들 때는 고슬고슬한 밥과 김밥김, 밥 양념할 소금과 참기름, 통깨, 게맛살, 시금치, 달걀, 당근, 단무지 등이 필요하다. 우선 김 발 위에 랩을 접히지 않게 깔아준다. 양념한 밥을 김에 빈틈없이 바르고 랩 위에 얹는다. 김 위에 단무지, 시금치, 당근 등 취향에 따른 김밥 재료를 얹고 랩을 살살 빼주면서 말아준다.백종원은 누드김밥을 썰 때는 밥이 풀어지지 않게 랩을 씌운 채로 썰면 쉽다고 설명했다.
‘집밥 백선생’ 백종원이 잔치국수 레시피를 공개했다.지난 30일 방송된 케이블채널 tvN ‘집밥 백선생’에서는 백종원이 국수 초보자인 제자들을 위해 소면 삶는 법부터 잔치국수 양념장과 비빔국수 초간단 비법 레시피까지 국수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했다.이날 방송에서 백종원은 “육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양념장이 중요하다”며 잔치국수 양념장 레시피를 전했다.먼저 쪽파를 썰어주고 고추 1, 파 3 비율로 섞어준 뒤, 고추, 파 합친 것의 1/10정도 굵은 고춧가루를 넣는다.이어 설탕 조금, 다진 깨 두 숟가락 반, 진간장과 국간장을 적절히 배합해 섞고 물을 넣고 참기름을 듬뿍 넣어 고소함을 더한다. 간장을 고추, 파에 부어주면 양념장이 완성된다.또한 비빔국수는 김치를 썰어 넣은 뒤 소면에 설탕, 간장, 고추장을 넣어 간한다. 여기에 고춧가루와 참기름으로 색감과 윤기를 잡고 김을 올리면 완성된다.또한 백종원은 “면을 쥐었을 때 500원짜리 크기가 되면 1인분이다”라고 설명했다.
원기를 돋우는 낙지 덮밥 레시피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뜨겁다. 5월 14일 방송된 KBS 2TV ‘생생정보’ 황금레시피 코너에서는 매콤한 낙지 덮밥 레시피가 소개됐다. 매콤한 양념장을 만들 때에는 고추장에 간장, 소금을 넣어 간을 한다. 간장은 감칠맛을 내고 소금을 간을 맞추기 위해 넣는다. 간장 2큰술 소금 반 큰술을 넣고 청주 2큰술, 설탕 반 큰술 물엿 1큰술, 후추와 생강가루를 넣고 잘 섞어준다. 생강가루는 낙지의 비린 맛을 잡아주고 조미료를 대신해 깊은 맛을 낸다. 낙지 덮밥에 들어갈 채소를 다듬는다. 대파는 송송 썰고, 양파를 비롯한 당근, 양배추, 애호박은 채썰어준다. 고추기름 4큰술에 양배추 4줌, 당근 반 줌, 애호박 반 줌, 양파 한 줌, 대파 한 줌 차례대로 넣는다. 채소 위에 낙지 4 마리를 넣고 고춧가루와 양념장, 물엿과 다진마늘을 한 팬에 넣어준다. 이때 채소, 낙지, 양념 순서로 팬에 넣어야 타지 않는다. 처음에는 약한 불로 볶다가 채소의 수분이 빠지면 센 불로 바꿔서 30초에서 1분 정도 볶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전분 3분의 1큰술, 참기름 2큰술과 부추를 넣으면 먹음직스러운 낚지 덮밥이 완성된다. 한편, 낙지는 지방이 거의 없는
돼지고기 김치찜을 맛있게 만드는 레시피에 눈길이 모인다. 지난 2014년 10월 방송된 KBS 2TV '생생정보통 황금레시피‘에서는 돼지고기 김치찜을 맛있게 끓이는 비결이 공개됐다. 이날 방송에서 김치찜 전문가는 “재료를 순서대로 넣고 푹 찌기만 하면 맛있는 김치찜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돼지비계를 냄비 바닥에 깔아준다. 돼지비계는 냄비에 고기가 눌러 붙지 않게 해주고 김치찜에 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더한다. 비계 위에 양파를 깔고 돼지고기를 올린 뒤 미리 만들어 둔 육수를 붓는다. 육수는 냄비에 물 9컵(맥주컵 기준), 북어 머리, 멸치, 파 뿌리, 다시마를 넣고 10분간 강한 불에서 끓인 뒤 건더기를 건져내면 된다. 약 3개월 숙성된 김치를 준비하고, 재료를 덮듯이 올려준다. 고기를 김치 밑에 깔아야 부드러운 식감과 맛을 낼 수 있다. 월계수 잎을 넣고 냄비 가장자리에 미리 만들어 둔 양념을 넣는다. 양념은 고춧가루, 간 생강, 멸치 액젓, 참치 액젓, 참기름, 간 배, 물엿, 후추, 간 청양고추, 간 마늘을 넣고 잘 섞어 숙성 없이 사용하면 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감칠맛을 더하고 고기 잡내를 잡아줄 황태가루를 한 큰술 뿌리면 된다. 뚜껑을 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