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가람 기자] 증권시장에서 큰 사랑을 받았던 ‘카카오주’가 연일 약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플랫폼 규제, 공정거래법 위반 등 악재가 겹치면서 투자 심리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카카오는 전장 대비 5500원(-4.23%) 하락한 주당 12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뱅크는 4300원(-6.24%) 빠진 6만4600원에 머무르면서 상장 후 최저가를 기록했고, 카카오게임즈도 2000원(-2.71%) 내린 7만1800원에 장을 종료했다. 이에 따라 세 회사의 시가총액도 일주일 만에 20조2899억원이 증발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7일 카카오페이와 같은 온라인 금융플랫폼이 펀드와 보험을 비교해 가입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단순 광고가 아닌 금융상품 중개 행위로 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오는 25일부터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맞춰 중개업자로 등록되지 않았거나 인·허가를 받지 않고 이 같은 사업을 영위할 경우 위법행위가 된다.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도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과 전자상거래법과 연계된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자 정부가 빅테크 규제에 돌입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카카오의 주가가 폭락하기 시작했다. 규제가 본격화된다면 주가는 더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의 기업공개(IPO) 역시 일정대로 진행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지난 9일 기준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되면서 공매도 투자가 가능해졌다. 주가 고평가 논란이 거셌던 만큼 공매도 타깃이 되고 있다. 지난 10일 하루에만 234만주에 달하는 카카오뱅크 공매도 물량이 나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날 김범수 카카오 의장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이 확인되면서 카카오주의 주가가 다시 한 번 흔들렸다. 김 의장은 개인회사인 동시에 카카오의 지주회사로 평가받는 케이큐브홀딩스와 연관된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제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케이큐브홀딩스는 김 의장과 그 부인이 기타 비상무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회사다. 김 의장의 아들과 딸도 재직 중이다.
앞서 김 의장은 지난 2016년에도 지정자료에서 엔플루토 등 5개 계열사에 대한 정보를 빠뜨린 혐의에 따라 경고 처분을 받았다. 당시 검찰은 김 의장을 약식 기소했지만 대법원이 고의성을 입증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지정자료란 공정위가 해마다 공시 대상 기업집단을 지정하기 위해 공정거래법에 따라 각 기업집단의 동일인으로부터 받는 계열회사·친족·임원·주주 현황을 담은 서류다.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카카오도 전력을 다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서둘러 보험 전문 상담, 자동차보험료 비교, 운전자보험 및 휴대전화보험 판매 중단에 나섰다. 여기에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개선하고 카카오페이증권, KP보험서비스 등 자회사들의 라이선스를 활용해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의장은 이르면 이번 주 안으로 상생협력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 의장은 카카오를 둘러싼 비판을 수용하고 플랫폼 규제 강화 움직임과 골목상권 침해 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계열사들과 함께 상생협력 관련 구체적인 대책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단기 낙폭이 과도하게 컸다는 의견도 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웹툰을 비롯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해외 진출 등 콘텐트 부문의 상승 모멘텀이 남아 있다”며 “주가를 견인하는 힘이 규제 우려보다 더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주가가 떨어진 이유는 카카오페이의 미래 핵심 경쟁력인 빅데이터를 이용한 금융상품의 판매·중개가 불가능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에서 비롯됐다”며 “현 시점에서 규제가 미치는 영향은 다소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