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현호 기자] 기아는 9일, 전기차 시장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2030년 연간 160만 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하고 전체 판매 중 친환경차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또 2022년에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 시장에서 최초의 모델인 PBV01을 출시할 계획이며 2023년 출시될 전용 전기차에는 3단계 자율 주행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기아는 이날 온라인 채널을 통해 ‘CEO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를 개최하고 내연기관 차량 중심에서 전동화 차량 중심의 구조적 변화를 달성하는 것을 넘어서 혁신적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통해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에서 새로운 브랜드로의 재탄생을 도모하기로 했다.
기아는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친환경 정책의 영향으로 전기차 시장의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역시 기존의 내연 기관 기반의 개인 고객 중심 서비스에서 전기차 기반의 기업/공공 부분 중심 서비스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아는 지난해 공개한 Plan S(선제적인 전기차(EV) 사업 체제로 전환,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 브랜드 혁신과 수익성 확대)를 재점검하고 전략을 보다 구체화시켜 3대 핵심 사업으로 구분하고, 각 사업별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했다.
먼저 기아는 2030년에는 160만 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하고 전체 판매 중 친환경차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전기차의 경우 2030년 연간 88만 대 이상의 판매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일류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기아는 전기차 전용플랫폼인 E-GMP를 적용한 아이오닉 5에 맞춰 전용 전기차 CV를 선보이기로 했다. 기아는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 500km 이상 ▲4분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 100km 확보 ▲제로백 3초 등의 강력한 상품성을 갖추고 7월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 시장에서 2022년 최초의 모델인 PBV01을 출시하기로 했다. 2030년에는 연간 100만 대 판매를 달성해 PBV 시장에서 글로벌 판매 1위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본격적으로 PBV 수요가 확대되는 2023년부터 기아는 오픈 이노베이션과 독자 플랫폼 개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는 한편, 다양한 파트너십과의 연계를 통해 경쟁력 있는 PBV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도화된 자율 주행 기술을 접목해 PBV 시장 확대에도 힘쓸 계획이다.
모빌리티 사업도 확대한다. 우선 B2C 모빌리티 사업 영역에서 도심별 환경 규제를 충족하고 성장이 예상되는 점유형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서비스를 확장한다. 기아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카셰어링 서비스 ‘위블(WiBLE)’을 올해 기업 서비스와 점유형 서비스로 확장하고 이탈리아와 러시아에서만 운영 중이던 기아모빌리티(KiaMobility) 서비스도 올해 유럽 4개국에 신규 론칭한다.
친환경 정책과 연계해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B2G 모빌리티 사업 영역에서 기아는 전기차를 기반으로 한 구독과 셰어링 결합 서비스를 선보인다. 2030년 7만대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B2G 모빌리티 사업 영역에서 기아는 맞춤형 전기차 종합 솔루션을 제공해 시장을 이끌어갈 계획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새로운 로고, 새로운 디자인, 새로운 사명이 적용된 올해를 ‘기아 대변혁(Kia Transformation)’의 원년으로 선포한다”면서 “기아는 이제 차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것에서 나아가 고객에게 혁신적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