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937/art_15998217097238_f95c29.png)
[FETV=김윤섭 기자] 편의점주들이 코로나19재확산으로 인한 정부의 2차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 것에 대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11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대상에 대한 일률적 기준 제시와 형평성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완 및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협의회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재난지원금 지원 대상은 연매출 4억 원이라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기준만 적용하고 있다"며 "특수지역 편의점들은 정부 지원업종들보다 큰 타격을 입었지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10일 총 7조8000억원 규모의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고 연매출 4억원 이하 소상공인과 집합금지업종, 수도권 집합제한업종에 대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결정했다. 편의점 가맹점 중에서 연매출 4억원을 초과하는 점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협의회는 편의점도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감소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편의점 매출 호조에 대해 알려진 사실 대부분은 가맹본부 기준의 매출이며 일선 점포의 매출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정부의 일부 통계자료와 언론보도에서 편의점이 코로나19 수혜업종으로 비치고 있지만, 이는 가맹본부 기준 매출이고, 편의점의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한정된 것"이라며 "가맹점은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매출이 감소하는 등 심각한 경영난을 겪오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스포츠 경기장, 대학, 유흥가 밀접지역, 극장, 호텔 등 집합이 금지 및 제한된 업종에 부속한 시설의 내·외부의 편의점(특수 편의점)은 매달 수천만원의 적자를 보는 등 도산 또는 파산 위기에 몰려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 따르면 특수 편의점은 전체 편의점의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협의회는 ▲연매출 4억 이하 기준을 10억 이상으로 확대하거나 담배매출을 제외한 매출 산정기준 적용 ▲집합제한 지역 점포에 집합제한업종과 동일 기준 적용 ▲선심성 지원안 축소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