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풀린 돈에 비해 경제활동 부진...GDP 대비 통화량 1.5배

 

[FETV=유길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에 풀린 돈이 국내총생산(GDP)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풀린 돈에 비해 경제 활동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세계은행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작년 말 우리나라 광의통화(M2)는 700조4000억원으로 명목 GDP(2010년 기준년) 1782조3000억원의 151.5%를 기록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만기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 등이 속한다. 

 

경제 규모에 비교한 통화량은 2011년 131.4%에서 2016년 146.6%로 빠르게 올랐다. 이후 2017년 146.2%로 잠시 둔화했으나 지난해 다시 상승했다.

 

이는 시중에 풀린 돈은 불어나는데 자금이 투자, 소비 같은 생산적인 방향으로 흐르지 못한 채 부동산 투자와 은행 예금 등에 묶인 결과로 풀이된다. 유동성 증가가 민간의 경제활동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못한 셈이다.

 

또 한국의 명목 GDP대비 M2 비율은 미국이나 전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미국은 지난해 말 89.5%로 GDP보다 금융시장에 풀린 통화량이 더 적었다. 미국은 개인들이 자금을 예금 대신 주식으로 굴리는 것을 선호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홍콩, 일본, 중국보다는 낮았다. 금융산업 위주의 특수한 경제구조를 가진 홍콩은 GDP 대비 통화량 비율이 384.8%로 통계가 집계된 128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다만 이 비율은 1년 전보다 10.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도 이 비율이 2016년 209.5%에서 2017년 204.2%로 낮아진 후 지난해는 199.1%로 떨어진 상태다.

 

일본은 한국처럼 경제 규모 대비 통화량 비율이 오르고 있다. GDP 대비 M2 비율이 2016년 243.5%에서 2017년 247.9%로 올랐고 작년에는 252.1%로 불어났다. 일본은 그간 경기침체와 디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저금리 기조를 이어왔으나 성장세가 회복하지 못해 이 추세가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