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금융감독원]](http://www.fetv.co.kr/data/photos/20190415/art_15548756321176_54a0d8.jpg)
[FETV=오세정 기자] 중소기업대출 연체가 늘면서 2월 국내은행의 연체율이 전월보다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국내은행의 2월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이 0.52%를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전월대비 0.07%포인트 오른 수준으로, 2월 기준 전월대비 연체율 상승 폭을 보면 2014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크다.
은행들이 통상 연말에 연체채권을 대규모로 상각하므로 1~2월에는 대개 연체율이 오른다. 이런 경향을 감안했을 때 연체율 상승 폭이 평년보다는 다소 컸던 것이다. 다만 은행 연체율이 0.52% 정도면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부문별로 보면 2월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이 0.68%로 전월말 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66%로 전월말보다 0.10%포인트 올라 전반적인 연체율 상승에 기여했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은행들이 담보 위주의 대출 관행에서 탈피해 생산적 금융의 비중을 늘리면서 중소기업 연체율이 다소 오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3%로 전월말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0.03%포인트,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 제외 가계대출 연체율이 0.08%포인트씩 올랐다.
금감원 곽범준 팀장은 “그간 개선 추이를 보이던 연체율이 소폭 상승한 것은 중기대출 연체율 상승(+0.10%p) 여파로 본다”면서 “신규연체 발생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은행의 손실 흡수능력을 강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