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나연지 기자] 권오성 현대위아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석에 선다. 협력사 납품단가 후려치기와 거래상 지위 남용 논란이 불거지면서 오는 10월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증인으로 채택됐다. 정무위는 권 대표를 상대로 협력사 압박 구조와 불공정 거래 실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현대위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핵심 부품 계열사다. 엔진과 차축 등 주요 부품을 현대차·기아에 사실상 독점적으로 납품한다.
2024년 DART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매출의 88.7%가 차량부품 부문에서 발생했고, 주요 매출처 역시 현대차·기아에 집중돼 있다. 전속거래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협력사 입장에서는 단가 협상력이 전무하다는 지적이 꾸준하다.
하도급 결제현황만 보면 현대위아의 결제 성적표는 양호하다. 납품대금의 97.86%가 10일 내 지급돼 업계 평균을 웃돌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보면 2.14%는 30일 이상 지연 지급됐다. 겉으로는 미미해 보이는 비중이지만, 절대 금액으로 환산하면 협력사 유동성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규모다.
업계 관계자는 “납품대금이 지연되는 순간 협력사의 자금 압박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고 말했다. 전기차 전환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관리 비용이 늘어난 점도 협력사 부담을 키우는 변수로 꼽힌다.
대기업 단가 후려치기 문제는 매년 국정감사에서 빠지지 않는 단골 의제다. 2022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2023년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도 관련 문제가 거론됐지만 실질적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정치권이 올해 권오성 현대위아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한 것도 ‘현장 체감 없는 제도 개선’을 압박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무위는 이번 국감을 계기로 ▲납품단가 연동제 전면화 ▲원가 공개 의무화 ▲하도급 분쟁조정 강화 등을 재추진할 전망이다. 납품단가 연동제는 원자재 가격 변동 시 자동으로 납품단가를 조정하는 장치로, 협력사 생존권 확보의 핵심 제도로 꼽힌다. 다만 완성차 업계의 반발이 여전해 실효성 있는 제도화에는 난관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전환기 비용 압박은 불가피한 구조적 변화지만, 협력사에 비용을 전가하는 방식은 산업 경쟁력을 잠식한다”며 “공급망 공정성 확보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 최소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오는 10월 28일 증언대에 오를 권오성 대표는 현대위아를 넘어 현대차그룹 납품정책의 상징적 책임자로서 날선 질문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 국감이 단순한 ‘갑질 논란’을 넘어 납품단가 연동제·원가 공개 의무화 등 공급망 공정성 제도화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