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자


LG전자, AX 가속화해 업무 혁신 드라이브

[FETV=나연지 기자] LG전자 조주완 CEO가 “이제는 AX의 속도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AI를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최고확산책임자 역할을 하겠다”고 28일 밝혔다. 기업 구조 혁신을 위해 CEO가 직접 AX 전파의 ‘체인지 에이전트’를 자처하겠다는 의미다.

 

조 CEO는 최근 열린 구성원 소통행사 ‘AX 토크콘서트’에서 “AI는 단순한 업무 방식 변화에 그치지 않고 일의 본질 자체를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AI와 함께 더 나은 방식으로 일하고, 조직 전체가 그 흐름 위에서 지속적인 변화와 진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거 DX가 단위업무의 최적화와 가시화, 이상감지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AX는 전사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돼 자율공정 등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LG전자는 ‘완전히 디지털화된 LG전자’를 AX 비전으로 내세우고 2~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구성원이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고 역량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다양한 AX 적용 사례도 소개됐다. 대표적으로 자체 AI 데이터 시스템 ‘찾다’를 활용하면, 기존 3~5일 걸리던 데이터 탐색 작업이 30분 만에 끝난다. 직원들은 ‘찾다’로 지역이나 문화권별 제품 전략을 수립하고, 제품 개발 속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 올해 초 인도에는 냉장고 사용 패턴 분석을 토대로 ‘위생·신선 기능’을 추가했고, 브라질에서는 ‘소량급속 코스’를 앞세운 세탁기를 출시했다.

 

 

LG전자는 AI를 제품 개발에서 지식과 제조를 연결하는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 데이터 분석 범위를 개발·특허 문서, 기술 보고서 등 비정형 데이터까지 넓히고, R&D 과정에는 AI 에이전트를 연결해 개발 효율을 높이고 있다.

 

AI는 판매 현장에도 도입되고 있다. LG전자는 AI를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군을 안내하고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등 상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업무용 AI 플랫폼 ‘엘지니’도 소개됐다. 2018년 도입된 엘지니는 초기 단순 업무 지원을 넘어, AI를 접목하며 LG전자의 핵심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잡았다. 현재 엘지니는 다양한 생성형 AI와 결합돼 업무 지식 검색, 문서 요약, 통번역, 코드 분석, 아이디어 생성 등 실무 중심의 기능을 지원한다. 월 70만 건 이상의 업무 상호작용과 71개 언어 통역, 월 12만 건 번역 등 실질적 혁신도 이끌고 있다.

 

LG전자는 앞으로도 엘지니의 기능을 영업, 마케팅, 공급망관리 등 전문 영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