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지난 1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맞춤형 기업금융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40207/art_17080416228614_702fc8.jpg)
[FETV=심준보 기자] "은행들이 기존 주담대 위주의 소비자금융에서 벗어나 기업에 대한 지원을 넓혀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홍콩 주가연계증권과 비교해) 갖고 있는 손실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 규모가 크지 않아 손실 흡수 능력이 있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지난 15일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관련 은행장 간담회'에서 쏟아낸 말들이다. 정통관료 출신으로 신사적 면모에 나서지 않은 성격으로 주목 받지 못했던 김 위원장이 달라지고 있다. ‘젠틀맨’으로 불리는 김 위원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업계를 향해 거침없는 메시지를 던지던 것과 비교돼 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최근 거침 없는 행보를 통해 금융개혁 전면에 나서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 날 은행장 간담회에서 정부와 금융권이 첨단산업 영위 대기업 등에 20조원, 중견기업에 15조원, 중소기업에 41조원 등 모두 76조원에 달하는 맞춤형 금융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그는 홍콩 주가연계증권(ELS)에 이어 대규모 손실 위험이 우려되고 있는 해외 부동산 펀드에 대해 "만기가 분산돼 홍콩 ELS와 성격이 다르다"면서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2022년 7월 11일 윤석열 정부의 첫 금융위원장으로 취임했다. 한때 금융위원장 교체설까지 나왔으나 최근 유임으로 결정된 분위기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3일 범금융 신년 인사회 신년사에서 "국내 경제는 부동산 PF, 가계·기업부채, 성장동력 정체 등 많은 위험과 불확실성에 노출돼있는 상황"이라며 "장단기 이슈를 아우르는 입체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월 5일에는 태영건설에 "권단과 신뢰 형성 안돼…날짜 많지않다"고 압박하기도 했으며 같은달 17일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대해 "저금리 시대를 지나면서 우리나라가 온통 빚으로 막 쌓여있는 상태인데 이를 적정히 관리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방향"이라며 "DSR 규제를 통해 상식적으로 갚을 수 있는 범위에서 빚을 관리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4일에는 "서민·취약계층 지원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 과정에서 서민·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범정부 협업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서민금융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꿔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이끈 인물이다. 지난달 말에는 홍콩ELS와 관련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가 나오면 관련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달 안에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도 발표할 예정이다. 세부 내용으로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PBR·ROE 등)를 시가총액·업종별로 비교공시 ▲상장사들에 기업가치 개선 계획 공표 권고 ▲기업가치 개선 우수기업 등으로 구성된 지수 개발 및 E상장지수펀드(ETF) 도입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올해 국내 금융업계는 굵직한 이슈를 다수 남겨놓고 있다. 현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확대 문제가 장기간 이어지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 규모도 문제다. 최근 홍콩 ELS 관련 피해자들은 금융당국의 감독이 부실했다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나섰으며 최근에는 판매 과정에서 공문서 변조 의혹까지 불거졌다. 또 태영건설 채권단은 태영건설에 4000억원 규모의 신규 보증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제2 금융권의 건전성 개선도 과제다.
김 위원장은 최근 설 연휴를 앞두고 금융위 간부들에게 책 '인구대역전-인플레이션이 온다(생각의힘)'을 선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도서는 금융시스템을 부채금융 중심에서 자본금융 중심으로의 전환을 통해 부채함정에서 탈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코리아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며 준비중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궤를 같이한다. 당분간 현재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