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자산관리 명가 삼성증권, WM영업 모델 혁신 중

 

[FETV=심준보 기자] 삼성증권이 WM영업 모델의 혁신으로 자산관리 명가로 거듭나고 있다. 

 

삼성증권은 지난 2000년대 초 업계 최초로 자산관리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후 2010년에 자산 30억 이상 초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는 SNI 서비스와 2022년 디지털 부유층 대상 S.Lounge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자산관리 명가로 입지를 공고히 했다.

 

삼성증권의 올해 1분기 기준 1억원 이상 고객 수는 직전분기 대비 15.5% 증가한 22만1000명을 기록했으며, 주식 거래대금 증가에 따른 순수탁수수료와 해외주식 수수료도 직전분기 대비 각각 42.3%, 31.4% 증가했다.

 

이러한 실적의 바탕은 전통적인 자산관리 사업으로 불리던 펀드나 랩 상품 판매에서 벗어나 SNI, S.Lounge 등 초고액자산가 및 디지털 부유층을 대상으로 시황에 따라 국내외 주식, 소매채권 등을 적시에 세일즈하고 공급하는 등 자산관리의 개념을 확대한 삼성증권의 전략이었다.

 

올해 우리나라 KOSPI, KOSDAQ 시장이 상반기에만 각각 14.7%, 27.8% 상승했고 미국의 S&P500과 나스닥 지수 역시 동기간 15.9%, 31.7% 상승하며 국내외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양호한 수익률이 기대된다. 또한, 지난해 미국 기준금리 급등으로 채권 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투자자들의 니즈에 따라 고쿠폰채권, 월지급식채권, 절세를 위한 저쿠폰채권 등을 적시에 공급해 자산관리의 한 축으로 주식과 채권을 직접 투자하는 삼성증권의 전략이 주효했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 시기를 기점으로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프로세스가 시대의 흐름으로 자리잡고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삼성증권은 디지털 부유층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22년 9월 'S.Lounge' 서비스를 론칭했다. 'S.Lounge’는 삼성증권(S)이 투자 관련 정보, 상담 등을 프라이빗한 공간(라운지)에서 제공한다는 의미를 갖고 디지털 부유층들에게 ▲투자정보라운지 ▲세미나라운지 ▲컨설팅라운지 3개의 대표메뉴를 중심으로 휴먼터치와 자동화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서비스다.

 

오현석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장은 “디지털 부유층 고객들은 투자와 관련해 셀프학습을 많이한 상태라 많은 양의 정보를 짧은 시간에 비대면 컨설팅을 통해 확인하시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디지털PB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삼성증권은 거대 WM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IB(투자은행)와의 연계 영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전사 조직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IPO(기업공개) 최대어 기가비스가 대표적 사례로, 삼성증권 WM이 법인고객으로 처음 만난 뒤 업체 성장 전략 니즈를 파악해 IB와의 연계를 통해 IPO까지 이끌어냈다는게 삼성증권의 설명이다. 이는 WM 내 초고액자산가 풀이 강점인 삼성증권만이 내세울 수 있는 사업전략이다.

 

박용대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증권에 대해 "주도권 경쟁이 격화 중인 해외주식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시장 지위를 유지해 경쟁사 대비 차별화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며 "충성도 높은 고객과 MTS 서비스, 뛰어난 리스크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영업 흐름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