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지난해 한국의 수출입(교역거래) 품목 중 세계수출 경쟁력 열위에 놓인 수출품이 10년간 가장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활용해 2013년부터 작년까지 수출 품목의 무역특화지수(TSI)를 분석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TSI는 특정 상품의 수출과 수입 관점에서 상대적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지수다. 0에서 -100으로 갈수록 수입의존도가 높다. 0에서 100으로 갈수록 수출 특화 정도가 높아짐을 뜻해 수출경쟁력이 높다고 판단한다.
전경령에 따르면 2013년 수입 특화 품목은 전체 교역 품목 1216개 중 815개였는데 2022년 1221개 중 846개로 31개 늘었다. 반면 같은기간 수출 특화 품목은 401개에서 375개로 감소했다. 수출 특화 품목이 많고 수입특화 품목이 적을수록 국가 기술경쟁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코로나가 본격화한 2020년 전년 대비 수입 특화 품목이 19개 늘고 수출 특화 품목은 18개 감소했다.
2013∼2022년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의 TSI를 토대로 2013년에는 수입 특화 품목이 석유 등 광물성 연료(-53.9) 1개뿐이었다. 그러다 2021년부터 광학·정말·의료기기의 TSI가 마이너스로 전환돼 수입 특화 품목이 2개로 늘었다.
나머지 8개 품목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보이고 있다. 다만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기간 TSI 변화를 보면 반도체 등 전기기기가 30.4에서 23.0로 하락했다. 기계 분야도 11.1에서 3.3, 자동차도 74.8에서 55.5, 선박이 91에서 77.1, 유기화학품은 26.7에서 21.1로 각각 하락했다.
TSI가 상승한 품목도 있다. 플라스틱(49.2→49.7), 철강(4.5→19.5), 철강제품(13.5→23.7) 3개로 나타났다. 이는 다시말하면 수출 특화품으로 상승했다는 점을 의미한다.
한국에 있어 가장 큰 복병의 나라는 중국이다. 해당기간 수입 특화 품목과 수출 비중이 동시에 가장 큰 국가가 중국이다. 중국과 교역에서 TSI가 마이너스인 수입 특화 품목은 2013년 전체 1168개 중 773개(66.2%)였다. 2022년에는 1185개 중 918개(77.5%)로 늘었다. 반도체 등 전기기기(29.3→12.8), 광학·정밀·의료기기(71.9→31.7) 등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가운데 9개의 경쟁력이 약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수출이 침체 늪에서 벗어나려면 첨단분야에 대한 한미, 한일 간 협력 등을 활용해 글로벌 수요가 큰 고부가가치 제품군을 주력 수출 품목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며 "반도체, 기계, 자동차 등 현재 주력 품목에 대해서도 규제 완화,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등 초격차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