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심준보 기자] 지난해 글로벌 증시 침체로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상환액이 크게 감소하며, 파생결합증권 잔액이 3년 만에 100조원을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은 26일 '2022년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지난해 말에 비해 17조5000억원이 증가해 총 102조2000억원에 달했다.
2019년(108조2000억원) 이후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긴 것이다.
시장의 주가지수 부진으로 인해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의 조기상환이 크게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ELS 발행액은 57조7000억원으로, 해외 주요 지수 약세에 따른 투자 수요 위축에 전년(72조2000억원) 대비 20.1% 줄었다.
상환액은 40조2000억원으로 전년(74조1000억원)과 대비하면 발행액보다 많은 45.7% 감소했다. 지난 글로벌 긴축 강화 기조 속에 주요 해외지수가 하락하면서 조기상환 요건을 미충족하는 사례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ELS 잔액은 동기간 23.0% 증가해 7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DLS 발행액은 16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감소했고, 상환액은 29.3% 감소한 11조8000억원이었다.
DLS 잔액은 15.8% 증가한 31조5000억원이었다. ELS의 투자수익률은 전년 대비 0.6%p 감소해 연 3.0%로, DLS 수익률은 전년 대비 0.5%p 줄어든 연 1.1%를 기록했다.
지난해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과 운용 손익은 116억원의 손실을 내 전년 8589억원과 비교해 8705억원 감소했다. 손실로 전환된것은 2년 만이다.
금감원은 "연중 글로벌 주요 지수 하락,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파생상품·채권 등 헤지 자산에서 운용 손실이 확대한 영향"이라며 "파생결합증권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증권사의 유동성·건전성 리스크 및 단기자금시장 상황과 연계해 증권사들의 파생결합사채 발행현황을 지속해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