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증시 부진 충격파...작년 자산운용사 절반 적자

 

[FETV=심준보 기자]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절반 가까이가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12월 결산 자산운용사 344개사 중 48.5%에 해당하는 167곳이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적자 자산운용사 비중은 지난 2020년에는 259개사 중 54곳(20.8%), 2021년에는 281개사 중 32곳(11.4%)에 그쳤었다. 하지만 지난해엔 그 비중이 절반으로 커진 것이다.

 

머스트자산운용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약 285억원에 달했고, BNK자산운용 역시 약 1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반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약 1조65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 눈길을 끌었다. 미래에셋자산운용(4546억원), 이지스자산운용(1295억원), 삼성자산운용(756억원), KB자산운용(650억원) 등은 많은 당기순이익을 냈다.

 

관련 업계에서는 작년 자산운용사 실적 부진의 큰 원인으로 증시 부진을 꼽고 있다.

 

자산운용사의 주요 수익원은 크게 보수와 운용사의 고유재산을 투자해 얻는 수익으로 구분된다. 수익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수에는 펀드나 일임 자금을 운용하는 대가로 받는 운용 및 일임보수와 특정 기준 이상의 수익을 냈을 때 받는 성과보수 등이 포함된다. 보수는 펀드 순자산에 연동돼 있어 순자산이 늘어야 보수도 늘어나는 구조다.

 

하지만 지난해 투자자금이 증시를 이탈해 은행으로 쏠리면서 설정액이 줄었고 펀드 내 자산가치도 하락해 평가이익이 급감하며 순자산도 위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