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제약


셀트리온, 역대최대 매출 2.2조원…"올해 최대허가 준비"

바이오시밀러 사업 성장, 역대최대 매출, 전년비 20.6% 증가
유플라이마와 램시마SC, FDA 허가 및 연내 미국 시장 진입 가시화
올해 최다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 및 신규 바이오시밀러 후보물질 임상 돌입

 

[FETV=박제성 기자]  셀트리온은 3일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조2839억원, 영업이익 6471억원, 영업이익률 28.3%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매출은 20.6%가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경우 매출 5106억원, 영업이익 1006억원으로 코로나 및 CMO(위탁생산) 관련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의약품) 사업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0% 이상 성장했다.  

 

셀트리온은 본업인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역대 최대 연간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램시마IV의 미국 점유율 증가와 신규 제품 출시로 매출이 증가했다. 케미컬의약품(합성의약품) 매출 역시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일부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램시마IV의 매출 비중 증가 및 진단키트 관련 일시적 비용 발생했기 때문이다. 진단키트 관련 일시적 비용을 제외하면 연간 30%대 영업이익률을 유지했다. 

 

진단키트 평가손실은 지난 4분기까지 모두 처리 완료했으며 향후에는 관련 영향이 미미할 것이다.

 

셀트리온은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 ▲바이오시밀러 제형 및 디바이스 차별화 ▲바이오신약 개발 등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올해도 성장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CT-P17)와 램시마SC 등의 제품을 통해 미국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램시마SC는 지난해 3분기 기준 유럽에서 14.3%의 점유율을 달성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램시마SC는 최근 유럽에 출시한 블록버스터 신약과 비교했을 때 판매 수량 기준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램시마IV와 램시마SC의 합산 점유율은 66%에 달한다. 셀트리온은 유럽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램시마SC가 미국 시장에 출시되면 회사의 주력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말 미국 FDA에 신약으로 램시마SC의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올해 연말 허가 획득을 예상하고 있다.

 

유럽 최초 고농도 바이오시밀러로 허가를 받은 유플라이마 역시 미국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다. 셀트리온은 올해 7월부터 유플라이마의 미국 판매에 돌입할 수 있도록 오리지널의약품 개발사와 특허 합의를 완료했다. 올해 5월 유플라이마의 미국 FDA 허가 획득을 예상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원료물질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유플라이마의 글로벌 시장 수요에 적시 대응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또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통한 직판으로 탄력적인 가격 조절이 가능한 점을 경쟁력으로 삼아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신약 중심의 핵심 사업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CT-P43),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CT-P42),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CT-P41), 악템라 바이오시밀러(CT-P47) 등 연내 최대 5개 품목의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창립 이래 최다 바이오시밀러의 품목 허가를 신청하는 것이다.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 보다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신규 바이오시밀러 후보물질의 임상을 연내 개시해 바이오시밀러 제형 차별화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는게 셀트리온 측 설명이다. 

 

또한 ADC, 이중항체 등의 분야에서 기술 투자를 지속하고 기술 도입 계약 규모를 확대해 바이오신약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항체 신약의 자체 개발도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 매년 1개 이상의 항체신약 임상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글로벌 시장서 견고한 성장세 지속

셀트리온의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은 유럽과 미국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유럽시장에서 램시마는 54.8%, 트룩시마 22.9%, 허쥬마 22.7%의 점유율[3]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4분기 기준 미국시장에서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 32.6%, 트룩시마 29.1%[4]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램시마는 미국 내 사보험 등재 이후 점유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추후 램시마SC가 미국에 출시되면 램시마IV와 램시마SC가 성장 시너지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꾸준한 성장으로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며 올해 역시 바이오시밀러 강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제품 출시 및 허가 신청, 차별화 전략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바이오신약 개발도 가속화하고 올해도 새롭게 도약하는 한 해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