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신생기업 비중 감소로 제조업 생산성둔화”
[FETV=최순정 기자] 제조업의 생산성 증가율 둔화는 생산성이 좋은 신생기업의 비중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민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3일 KDI 포커스 92호에 실린 '제조업 신생기업의 성장동력 역할 감소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창업 후 햇수로 6년차(창업한 해를 1년차로 간주) 이내인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 변화나 이들의 제조업 전체 생산성 향상 기여도 등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생기업(종사자 10인 이상 제조업)의 사업체당 평균 생산성은 12년차 이상 기업보다 최근 더 좋아졌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전체 제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비중은 줄었다. 1995∼2004년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을 12년차 이상 기업과 비교하면 3년차 이내의 기업은 12년차 이상 기업 생산성의 98.1%, 4∼6년차 기업은 99.7% 수준이었는데, 2005∼2013년에는 각각 101.3%, 101.5%로 높아졌다. 하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제조업의 총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비중은 최근 더 낮아졌다. 1995∼2004년에는 3년차 이내 기업이 5.6%, 4∼6년차 기업은 9.2%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