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한가람 기자]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가격이 17주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첫째 주(2∼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리터(L)당 1733.06원으로 지난주보다 0.04원 내렸다. 주간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16주 연속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4.1원 상승한 1801.8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1.4원 하락한 1706.4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리터당 평균가는 1706.6원이었다. 반면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1597.7원으로 리터당 1.1원 올랐으나, 상승 폭은 전주의 11.3원 대비 줄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발효 이후 미중 무역 전쟁 우려와 미국 주간 원유 재고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이번주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78.1달러로 직전 주보다 2.8달러 내렸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다음 주까지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하
[FETV=한가람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인 두산스코다파워가 체코 프라하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두산스코다파워는 체코 프라하 증권거래소(PSE)에 상장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행사에는 페트르 코블리츠(Petr Koblic) 프라하 증권거래소 CEO, 홍영기 주 체코 대사, 두산에너빌리티 박상현 사장, 두산스코다파워 임영기 법인장 등 주요 인원이 참석했다. 두산스코다파워의 공모가는 한화 기준 1만4400원으로 확정되며 총 공모금액은 1516억원에 달했다. 박상현 사장은 증시 상장을 알리는 종을 울린 후 축사를 통해 “스팀터빈 원천기술 보유 강국인 체코에서 두산이 스코다파워를 만난 것은 행운이자 영광이었다”면서 “그동안 스코다파워와 두산은 16년을 함께 해 오면서, 지난해에는 팀 코리아가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우선협상자로 선정되는 과정에 두산스코다파워가 일조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이 자리를 빌려 체코와 두산스코다파워에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발언했다. 박 사장은 “체코의 대표적인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작의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처럼 두산스코다파워는 앞으로 발전시장에서 신세계를 개척해 나
[FETV=한가람 기자] 한화솔루션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2조3940억원, 영업손실 300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사업 부문별로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5조7658억원, 영업손실 2575억원을 달성했다. 모듈과 기타 사업은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약세로 수익성이 낮아졌지만 개발자산 매각과 EPC 사업은 매출이 3조원에 달해 전년에 이어 성장세를 지켰다. 케미칼 부문은 매출 4조8172억원, 영업손실 1213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 주요 제품 판가 약세가 이어졌고 해상운임 상승, 전기요금 인상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376억원, 영업이익 235억원을 기록했다. 완성차 수요 증가에 따라 경량 복합소재 판매가 늘었으나 태양광 소재 가격 약세, 미국 신공장 초기 고정비 등 영향을 받았다. 지난해 4분기 한화솔루션의 매출은 4조6429억원, 영업이익은 1070억원으로 집계됐다. 분기 매출은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최대 규모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모듈 판매량이 올라가고 개발자산 매각 및 EPC 수익이 증가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2조8690억원을 달성했고
[FETV=한가람 기자] SK이노베이션은 2024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매출은 19조4057억원, 영업이익은 1599억원을 달성해 흑자전환했다고 6일 공시했다. 연간실적은 매출 74조7170억원, 영업이익 3155억원이다. 회사는 “지난해 4분기에 정제마진이 개선되고 합병한 SK이노베이션 E&S 실적이 반영된 영향 등으로 흑자전환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11월1일 SK E&S와 합병해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토탈 에너지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올해부터는 SK이노베이션 E&S 사업 실적이 연간 기준으로 반영된다. 각 에너지 사업 별 합병 시너지가 생겨 수익과 재무 구조가 한층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SK이노베이션 E&S는 지난해 영업이익 1조1157억원을 올렸고 이 중 11~12월 영업이익 1234억원이 SK이노베이션 4분기 실적에 포함됐다. SK이노베이션은 석유개발사업 자회사 SK어스온이 지난 1월 베트남 15-2/17광구에서 원유 부존 확인과 시험 생산에 성공했다. 미래에 베트남 16-2광구와 말레이시아 427 광구 등 여러 탐사·개발 프로젝트에서 매출과 수익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이
[FETV=한가람 기자] 엘앤에프는 2024년 연결 기준 연간 매출 1조9075억원, 영업손실 5102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58.9%, 영업이익은 129.5% 감소했다. 매출액 감소의 주된 원인은 전방 산업 수요 저조로 인해 출하량이 감소했고 메탈 가격 변동에 따라 판가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영업이익은 메탈가 하락으로 생긴 손익 압박과 EV 수요 둔화에 따른 가동률 감소, NCM 523 제품과 원재료의 재고평가손실이 인식돼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9% 증가해 365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149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11% 확대됐으며 3분기 저점으로 회복세에 들어가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엘앤에프는 올해 신제품 출시와 신규 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을 노리고 있다. 지난해 46파이용 Ni-95% 제품 양산에 거쳐 2170용 Ni-95% 신제품 납품을 계획 중이며 올해 1분기 말부터 출하될 일정이다. 중저가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국내외 고객사와 LFP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Non-FEOC(해외우려기관이 아닌) 국가에서 최초로 LFP 대량 양산을 준비
[FETV=한가람 기자] S-OIL에서 사회공헌 업무를 맡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련한 책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2007년에 회사에 들어간 신영철 사회복지사는 17년간의 사회공헌 업무 경험을 기록해 '나는 기업 사회복지사다' 책을 발간했다. 회사는 나눔과 상생의 경영철학을 표방하고 '햇살나눔'이라는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다. '영웅, 환경, 지역사회, 소외이웃'을 지키는 캠페인을 중심으로 여러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해왔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1년에 소방의 날 대통령 표창, 2024년에 사회복지의 날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신영철 사회복지사는 “기업 사회공헌(CSR) 담당자, 현장 사회복지사 그리고 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사회복지사들에게 기업 사회공헌 활동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FETV=한가람 기자] HS효성첨단소재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97억원으로 전년보다 26.2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조3112억원으로 3.4%, 순이익은 782억원으로 38.02% 늘었다. 이는 HS효성첨단소재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타이코코드의 판매량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FETV=한가람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대규모로 회사채를 발행한다고 4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회사채 발행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 회사는 세 번째로 원화 회사채를 발행한다. 이번 회사채는 2년물, 3년물, 5년물, 7년물로 구성되며 발행 신고금액은 8000억원 규모다. 회사는 6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할 계획이며 결과에 따라 증액 발행을 조사할 예정이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발행가액, 확정 이자율 등 요건을 결정한다. 이번 회사채 발행을 통해 모은 자금은 추진중인 대규모 글로벌 생산시설(Capex) 투자 등에 이용할 예정이다. 현재 회사는 캐나다 온타리오 스텔란티스 합작공장, 미국 오하이오 혼다 합작공장, 미국 조지아 현대차그룹 합작공장 등 북미에서만 5개의 신규 공장을 건설 중이다. 회사는 2023년 첫 회사채를 1조원 규모로 발행했다. 2024년에는 1조6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단일 발행 기준 최대 규모에 달했다.
[FETV=한가람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4조8348억원, 영업이익 1645억원, 세전이익 1287억원, 당기순이익 109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17.6% 감소했다. 매출은 경기 침체 상황에도 화학부문 활황으로 소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아라미드 정기보수 영향으로 감소했다. 세전이익은 12.3%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기존 사업 효율화로 자산 평가 차익이 발생해 전년 대비 115.8% 증가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올해는 아라미드 펄프 증설 및 신규용도 확대 등 제품 라인업 다각화와 함께 패션부문의 기존 브랜드 재편과 해외진출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OE(Operation Excellence)를 기반으로 원료 조달부터 출고까지 전 프로세스에서 효율성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부문별 구체적인 사항은 2월 중 코오롱인더스트리 실적 설명회를 통해 보일 계획이다.
[FETV=한가람 기자] 금호석유화학이 연결기준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이 1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를 통해 4일 밝혔다. 4분기 매출은 1조80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했다. 순이익은 613억원으로 32.8%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합성고무 부문 매출은 7585억원이다. 영업이익은 184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7%, 20.3% 증가했다. 연말 시장 수요 저조에도 시장·제품별 포트폴리오 업그레이드로 수익성을 높였다. 올해 1분기에는 원재료 가격 상승을 포함한 판매 가격 정책 추진과 제품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을 추구할 것으로 회사는 예측한다. 합성수지 부문 매출은 31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95억원으로 이전 분기 영업손실 87억원보다 증가했다. 전방산업 수요 저조와 수요처 연말 재고 최소화로 시장가격이 꾸준히 낮았다. 페널유도체 부문은 정비로 인한 판매량 감소와 주요 제품 스프레드(마진) 축소로 영업손실 222억원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영업손실 104억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적자가 증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2728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