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장기영 기자] 삼성생명은 가입 후 바로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온라인 전용 상품 ‘삼성 바로받는 연금보험(원금보장형)’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원하는 금액을 일시에 납입한 뒤 1개월 후부터 매월 연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장기간 보험료를 납입할 필요 없이 안정적 노후 자산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납입 금액은 최소 200만원부터 최고 10억원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연금액은 공시이율을 적용한 후 사업비를 차감해 계산하며, 향후 공시이율이 하락하더라도 가입기간에 따라 연 0.5~1%의 최저보증이율을 적용한다. 연금 개시 후 보험기간 동안 일정 수준의 이자를 매월 종신 지급하며, 중도 해지하더라도 원금은 보장한다. 상품 가입은 삼성생명 다이렉트보험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할 수 있으며, 가입 연령은 만 20세부터 60세까지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복잡한 절차나 장기 납입 부담 없이 한 번의 납입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디지털 환경에서 빠르고 투명하게 노후자산을 운용하고 싶은 고객들에게 실질적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FETV=장기영 기자] 한화생명이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이하 한투PE)가 보유한 자회사형 법인보험대리점(GA)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지분 전량을 매수해 다시 완전자회사로 편입했다. 한화생명은 한국투자어슈어런스사모투자합자회사, 한국증권금융(한국밸류일반사모투자신탁1호)이 보유한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전환우선주 500만주(11.1%)를 총 1285억원에 매수했다고 21일 공시했다. 한국투자어슈어런스사모투자합자회사와 한국증권금융(한국밸류일반사모투자신탁1호)은 지난 2023년 9월 한화생명금융서비스와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한 한투PE가 조성한 펀드다. 계약 당시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한투PE로부터 1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한투PE는 전환우선주 형태로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지분을 보유해왔다. 이번 지분 매수에 따라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한투PE 투자 유치 이후 약 2년만에 다시 한화생명이 지분 100%를 보유한 완전자회사가 됐다. 한투PE의 자금 회수에는 투자 당시 계획한 증시 상장 지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생명은 한국투자금융지주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한화생명금융서비스를 기업가치 1조원 규모의 초우량 GA로 키워 기업공개(IPO)를 실시할 계획이었다. 한
[FETV=장기영 기자] 미래에셋생명의 상장지수펀드(ETF) 기반 변액보험 펀드가 수익률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미래에셋생명에 따르면 ETF 기반 변액보험 펀드 ‘ETF 글로벌주식형’의 지난 17일 기준 연 평균 수익률은 28.38%, 누적 수익률은 233.57%다. 이 펀드는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주로 투자한다. ‘MSCI ACWI(All Country World Index)’를 비교 지수로 삼아 글로벌 주식시장의 장기 성장과 연동된 자본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미래에셋생명은 ETF를 활용한 글로벌 분산 투자 효과를 장기적으로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다른 ETF 기반 변액보험 펀드 ‘ETF 글로벌AI테크’도 연 평균 수익률 10.64%, 누적 수익률 117.29%를 기록했다. 해당 펀드는 반도체, 클라우드 컴퓨팅, 2차 전지, 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 중에서도 장기 성장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일 테마 ETF에 집중하는 일반 투자 방식과 달리 변액보험 구조를 적용해 포트폴리오를 장기적 시각으로 유지할
[편집자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됐다. 보험사들은 아시아와 유럽, 북미 각국에서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삼성화재, 코리안리 등 3개 주요 보험사의 해외사업 실적과 전망을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재보험사 코리안리의 유럽지역 수재 거점인 스위스법인 영업이익이 3배 이상 급증했다. 글로벌 일류 재보험사 도약을 목표로 내건 코리안리는 세계 10위 규모의 인도 보험시장에 추가로 진출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21일 코리안리에 따르면 홍콩법인, 영국법인, 스위스법인, 미국법인 등 4개 해외법인의 올해 1~3분기(1~9월) 영업이익은 171억원으로 전년 동기 102억원에 비해 69억원(67.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59억원을 3배 가까이 웃도는 금액이다. 당기순이익은 83억원에서 132억원으로 49억원(59.2%) 늘었다. 코리안리의 해외법인 성장세를 주도한 것은 유럽지역 수재 거점인 스위스법인이다. 스위스법인의 영업이익은 34억원에서 111억원으로 77억원(222.2%), 당기순이익은 31억원에서 89억원으로 58억원(183.5%) 급증했다. 코리안리
[FETV=장기영 기자] 한화그룹 보험계열사인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나란히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 한화생명과 한화손보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실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각각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한화생명은 2020년 이후 6년 연속, 한화손보는 2021년 이후 5년 연속 통합등급 ‘A’ 등급을 유지했다. 통합등급 ‘A’ 등급은 전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실천한 기업에 부여하는 등급이다. 한화생명의 경우 분야별로 환경(E) ‘A+’, 사회(S) ‘A’, 지배구조(G) ‘B+’ 등급을 획득했다. 앞서 한화생명은 2021년 한화손보를 비롯한 한화그룹 금융계열사와 공동으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2022년에는 오는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내일을 그린다는 의미의 ‘그린라이프(Green Life) 2030’을 ESG 경영 슬로건으로 정했다. 이후 친환경·친사회적 투자 비중 2배 이상 확대하고, 탄소 배출량을 40% 이상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손보 역시 환경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 개선, 환경 관련
[편집자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됐다. 보험사들은 아시아와 유럽, 북미 각국에서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삼성화재, 코리안리 등 3개 주요 보험사의 해외사업 실적과 전망을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삼성화재의 아시아지역 거점인 싱가포르 재보험법인 삼성리의 순이익이 3배 이상 급증했다. 북미·유럽지역 거점인 영국 로이즈(Lloyd’s) 캐노피우스(Canopius)에 8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하며 ‘투트랙(Two-Track)’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와 손잡은 중국 합작법인 역시 매출이 6배 이상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삼성리의 올해 1~3분기(1~9월) 영업수익은 2654억원으로 전년 동기 2117억원에 비해 537억원(25.4%) 증가했다. 이 기간 당기순이익은 41억원에서 133억원으로 92억원(224.4%) 급증했다. 삼성리의 올해 연간 영업수익은 사상 처음 3000억원을 넘어서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삼성화재는 아시아지역 거점인 삼성리와 북미·유럽지역 거점인 캐노피우스를 양대 축으로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