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자


삼성전자, 하반기 기초과학·소재·ICT 22개 연구 지원 과제 선정

 

[FETV=이가람 기자] 삼성전자와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이 올해 하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연구 과제 22개를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발전과 세계적인 과학기술인 육성 등을 목표로 삼성전자가 지난 2013년부터 1조5000억원을 투입해 진행하고 있는 공익 목적의 과학기술 연구지원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700여개 과제에 9200여억원을 연구진 1만3000여명에게 지급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기초과학 분야 10개에 172억7000억원, 소재 분야 6개에 92억원,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6개에 76억원 등 총 340억7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기초과학인 수리·물리·화학·생명 분야에서는 학술적으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거나 질병 치료의 근원적 접근 등 파급 효과가 예상되는 과제들이 선정됐다. 김태경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기억 정보의 시공간적 배치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발굴 및 통제하는 새로운 유전체 기반 신경 활동 탐지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박경덕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는 1세제곱나노미터(n㎥) 이하 영역에서 엑시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한다. 김익수 가천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세포가 분화되는 다양한 과정을 모두 기록하고 세밀하게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소재 분야에서는 유전 질환 치료제, 전자 소자 발열 문제 해결 등 폭넓은 연구가 이뤄질 전망이다. 김진국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mRNA 특정 부위에 결합해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전자를 발굴해 희귀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에 도전한다. 이종석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는 나노 크기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열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구를 이끈다.

 

ICT 분야에서는 차세대 통신, 자율주행 등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가 눈에 띈다. 허충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을 빠르게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공병돈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는 전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해 높은 출력의 무선주파수(RF) 소자를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