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자산 현황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단위: 만원) [자료 통계청·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http://www.fetv.co.kr/data/photos/20211041/art_16339304227867_13dd73.jpg)
[FETV=이가람 기자] 향후 자본시장의 주축이 될 MZ세대(20·30대) 내 자산 격차가 커지고 있다.
11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가 세대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849만원이다. 전년과 비교해 2200만원 증가했다.
분위별로 살펴보면 이 기간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원으로 전년 대비 64만원(+2.6%) 늘었다.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744만원으로 전년보다 7031만원(+8.8%) 증대됐다. 자산 상위 20%의 평균을 하위 20% 평균으로 나눈 값인 자산 5분위 배율은 지난 2019년 33.21배에서 지난해 35.20배로 확대됐다.
연령별로 따져보면 20대 사이에서의 자산 격차가 30대보다 컸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844만원,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3억2855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전년 대비 115만원(-11.9%) 감소했지만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817만원(+2.5%) 증가했다.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지난 2019년 33.42배에서 지난해 38.92배로 불평등이 심화했다. 지난해 3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인 23.82배를 훌쩍 웃돈다.
하지만 소득 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지난해 20대 가구 소득은 상위 20%의 평균 경상 소득이 5262만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 소득이 2145만원이었다. 20대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45배로, 30대 소득 5분위 배율인 3.05배보다 낮았다.
김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며 “부모의 재력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는 기회의 불공정 및 양극화 해소를 위해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