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재계


1000대기업 매출 1500조 돌파…삼성전자 “19년째 1위”

CXO연구소, 1996년~2019년 국내 1000대 상장사 매출 분석
2018년 1000대 기업 매출 1537조 원 달성
매출 1조 클럽 2019년 209곳 역대 최다
삼성전자, 2018년 매출 170조 달성 역대 최고

 

[FETV=김창수 기자] 국내 1000대 기업 매출은 지난 2018년에 1500조 원대로 처음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9년에는 매출 1조 클럽에 가입된 기업은 209곳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고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부터 19년 연속으로 국내 기업 중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1996년~2019년 국내 1000대 기업 매출 외형 분석’에서 도출했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대상 1000대 기업은 상장사 기준이고 매출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 1996년 당시 국내 1000대 기업 매출 규모는 390조 원이었다. 이로부터 12년이 흐른 지난 2008년에 1196조 원으로 처음으로 1000조 원 시대를 열었다. 이후 2010년 1328조 원, 2011년 1418조 원으로 꾸준히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이후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 동안 1000대 기업 매출 외형은 1400조 원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7년간 갇혀있던 1400조 원대 벽은 2018년에 와서야 무너졌다. 2017년 1492조 원이던 매출은 이듬해인 2018년에 전년 대비 3.1% 성장세를 보이며 1537조 원을 기록했다. 국내 1000대 기업 매출이 처음으로 1500조 원대로 진입한 것이다. 그러나 다음해인 2019년에는 매출 성장이 다시 하락세로 꺾였다. 2019년 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한 1508조 원 수준을 보였다. 매출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지난해에 코로나19 상황을 맞았다. 2020년 매출은 업종에 따른 매출 변동 편차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 1500조 원의 벽은 깨졌지만 매출 외형 성장세는 더디다. 1996년부터 2010년까지만 해도 전년 대비 10% 이상 매출 성장률을 보인 시기만 해도 6번이나 됐다. 특히 2007년 대비 2008년 1000대 기업 매출은 무려 27.4%나 크게 상승한 적도 있었다. 2007년 939조 원이던 매출은 2008년에 1196조 원으로 한 해 사이에 257조 원 증가했다. 또 2009년 대비 2010년에도 12.5%(147조 원↑)나 덩치가 커지기도 했다.

 

 

이와 달리 지난 2010년 이후로 매출 10% 이상 성장세를 보인 해는 단 한 번도 없었다. 2011년에 전년 대비 6.8% 매출 성장을 이룬 것이 최고의 성적이다. 2010년을 기점으로 국내 1000대 기업의 매출 성장은 점점 힘을 동력을 잃어가는 모양새가 뚜렷했다. 과거 1980~90년대를 주름잡던 전통 산업만으로는 더 이상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지속화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매출 1조 클럽, 2019년 209곳 최다 VS 매출 10조 클럽, 2017년 37곳 최다

 

1996년부터 2019년 사이 국내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 원이 넘는 ‘매출 1조 클럽’에 가입된 숫자가 가장 많았던 해는 지난 2019년으로 확인됐다. 이 당시 매출 1조 클럽에는 209곳이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이 가장 컸던 2018년 1조 클럽에 가입한 199곳 보다 10곳 많은 숫자다.

 

지난 1996년 당시만 해도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 클럽에는 69곳만 이름을 올렸다. 이후 2002년에 117곳으로 처음으로 100곳을 돌파했고 2009년에는 150곳을 넘어섰다. 매출 1조 클럽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여 오다가 2012년을 기점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2012년에 192곳이나 되던 매출 1조 클럽은 2013년부터 2017년 사이 5년 동안은 180~190곳 미만으로 더 줄었다. 그러다 2019년에 처음으로 200곳을 돌파했다. 2019년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209곳의 매출 규모는 1273조 원. 이는 당시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의 84.4%나 차지했다.

 

2018년 대비 2019년에 매출 1조 클럽에 새로 가입한 기업 중에는 대웅제약, 종근당, 셀트리온헬스케어와 같은 제약 업종에서도 3곳이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에스엘, 파트론, 파워로직스 등도 매출 1조 클럽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2019년에 매출 1조 클럽 기업 숫자는 역대 최다였지만 매출 10조 원이 넘는 ‘매출 10조 클럽’ 기업 숫자는 지난 2017년에 37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2018년과 2019년 매출 10조 클럽은 각각 35곳, 32곳으로 지난 2017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

 

GS건설(2018년 11.7조 원→2019년 9.4조 원), 대우건설(10.2조 원→8조 원), 롯데쇼핑(10.2조 원→9.6조 원), 롯데케미칼(10.1조 원→9.1조 원) 4곳은 2018년 10조 클럽에 들었지만 2019년에는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메리츠증권은 2018년 8.2조 원에서 2019년에 11.4조 원으로 10조 클럽에 새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2002년부터 19년째 국내 매출 ‘1위’…매출 200조 돌파 시기 초미의 관심

 

현재 국내 재계 1위 기업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부터 매출 최고 자리에 처음 등극했다. 2002년 이후 2019년까지 단 한 번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수성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에도 국내 기업 중 매출 1위가 확실하기 때문에 작년 시점까지 포함하면 19년째 매출 왕좌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셈이다.

 

1996년 당시만 해도 삼성전자는 매출 15조 8745억 원으로 삼성물산과 현대종합상사에 이어 매출 3위를 기록했었다. 그러다 2002년에 매출 39조 8131억 원으로 삼성물산을 제치고 국내 매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이때부터 국내 재계 1위 자리를 지켜온 삼성전자는 2010년에 처음으로 매출 100조 시대로 접어들었다. 당시 매출은 112조 원. 이후 2011년 120조 원→2012년 141조 원→2013년 158조 원으로 매출 성장세를 이어나갔다.

 

 

그러다 2014년(137조 원)→2015년(135조 원)→2016년(133조 원) 3년 동안은 2012년 때보다 못한 수준으로 뒷걸음질치기도 했다. 이후 2017년에는 161조 원으로 역대 최고 매출을 쓰더니, 2018년에는 170조 원으로 다시 매출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2018년 삼성전자가 올린 회사 외형은 동기간 1000대 기업 중 매출 300위부터 1000위까지 700곳을 합산한 것과 맞먹는 수준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2018년 당시 연결 기준 매출은 243조 원이었다. 2019년 매출은 154조 원(연결 기준 230조 원)으로 이전해보다 9.2% 감소했다. 2020년 매출은 2019년 때보다는 높지만 2018년 수준에는 다소 못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향후 삼성전자는 매출 200조 원 시대를 어느 시기에 넘어설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1000대 기업 전체 매출 중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7년~2019년에는 10%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2017년 10.9%, 2018년 11.1%, 2019년 10.3% 수준으로 삼성전자 매출 영향력을 보였다. 이중 2018년 매출 비중은 2013년 11%보다 높은 역대 최고 매출 영향력을 뽐냈다.

 

이와 함께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삼성전자를 포함한 매출 상위 톱10 기업의 비중은 2017년 30.8%→2018년 31.5%→2019년 30.3%로 30%를 넘었다. 국내 1000대 기업 중 매출 상위 10개 기업의 외형 덩치가 30% 정도나 차지할 정도로 대기업 쏠림 현상이 강했다는 의미가 강하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향후 대한민국 경제 부흥의 新르네상스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산업들을 선도적으로 개척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실현하려면 기업의 기술 개발 노력 못지않게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규제 정비 마련도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급속하게 시장이 바뀌는 환경 속에서 과거의 낡은 규제 등으로 새로운 산업에 대한 속도를 내지 못하면 글로벌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