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통신


LGU+ VOD 만족도 1위 차지...VOD 광고시간 전년보다 줄어

과기부 '유료방송 품질평가' 결과 발표
만족도 LGU,KT, SK순...평균광고시간 16.12초
실시간 채널·VOD 개수는 KT가 가장 많이 확보

 

[FETV=김윤섭 기자] 유료방송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LG유플러스가 1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속에서 대세로 떠오른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와의 선제적인 협력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이용자 만족도조사 1위를 차지했던 SK브로드밴드는 3위로 뒤쳐졌다.

 

올해 VOD(주문형비디오)의 광고 시간이 16초대를 기록해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널을 바꿀 때 소요되는 '채널 전환 시간'과 셋톱박스를 켠 후 영상이 나올 때까지의 '셋톱박스 시작 시각'도 전년 보다 단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23일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는 유료방송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인 품질정보 제공 및 사업자간 품질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는 기존 평가 대상사업자(9개사)에 지역의 개별 케이블TV(9개사)를 포함해 전체 유료방송사업자로 평가 대상을 확대했다.

 

영상 체감품질은 평균 4.57점으로 전년(4.59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매체별로는 IPTV의 영상 체감품질이 4.63점으로 전년(4.66점)보다 0.03점 낮아졌고, 케이블TV는 4.52점으로 전년(4.56점)보다 0.04점 낮아졌다. 위성방송은 4.60점으로 전년(4.58점)보다 0.02점 올랐다.

이용자 만족도는 평균 60.1점이었다. 서비스 단계별로는 설치 만족도가 65.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입 만족도가 53.1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용자 만족도는 평가단 985명이 가입·설치·이용·A/S·상품변경·해지 등 유료방송 서비스의 전 단계별 만족도를 평가한 수치다. 매체별로는 IPTV의 만족도가 62.8점, 케이블TV 59.4점, 위성방송 57.3점을 기록했다.


 

 

사업자별로는 LG유플러스가 64.2점을 기록해 가장 이용자 만족도가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KT는 62.5점을, SKB는 61.6점을 기록했다.


유료 VOD 한 편에 포함된 전체 상업광고 시간인 VOD 광고 시간은 평균 16.12초로 지난해보다 3.48초 줄어들었다.

매체별로 IPTV의 광고 시간은 전년(26.14초)보다 4.54초 단축된 21.6초였고, 케이블TV의 광고 시간은 전년(15.67초)보다 2.84초 준 12.83초였다.

특히 SKB의 광고 시간은 전년(29.93초)보다 50% 단축된 15.85초로, 사업자 중 가장 큰 폭으로 광고 시간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블TV에서는 CMB의 광고 시간이 0초를 기록했다.


 

 

콘텐츠 다양성 부문을 보면 실시간 채널 수는 평균 261.6개, VOD는 평균 3만4559편으로 집계됐다.

사업자별로는 KT의 실시간 채널 개수가 312개로 사업자 중 가장 많았다. SKB는 267개, LG유플러스는 264개를 기록했다.

VOD 개수를 따져봤을 때도 KT는 4만2300개로 사업자 중 가장 많은 VOD를 확보했다. SKB는 3만4964개, LG유플러스는 3만1715개였다.

채널 전환시간은 평균 1.3초로 전년(1.36초)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매체별 채널 전환시간은 IPTV는 전년(0.89초)보다 0.2초 증가한 1.09초, 케이블TV는 전년(1.45초)보다 0.05초 준 1.40초, 위성방송은 전년(2.27초)보다 0.79초 준 1.48초로 집계됐다.

사업자별로는 LG유플러스의 채널 전환시간이 0.89초로 가장 빨랐고, KT스카이라이프는 1.48초로 전년(2.27초)보다 35% 채널 전환시간이 단축됐다.

셋톱박스 시작 시각은 평균 3.04초로 전년(3.68초)보다 0.64초 줄어들었다. 매체별 셋톱박스 시작 시각은 IPTV가 전년(3.92초)보다 1.68초 단축된 2.24초를, 케이블TV는 전년(3.60초)보다 0.01초 준 3.59초, 위성방송은 전년(3.39초)보다 0.66초 준 2.73초였다.

사업자별로는 SKB의 셋톱박스 시작 시각이 1.84초로 사업자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품질평가는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과 지역 개별 케이블TV를 포함해 총 18개 사를 대상으로 VOD 광고 시간·횟수, 콘텐츠 다양성, 채널 전환시간, 셋톱박스 시작 시각, 채널 음량 수준, 영상 체감품질, 이용자 만족도 등 7개 항목을 평가한 결과이다.

송재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2018년 처음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를 한 이래로 전반적으로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사업자 간 건전하고 자율적인 품질향상 경쟁을 촉진할 수 있도록 평가방식과 항목 등을 개선·보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