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1250/art_16075552019642_910017.jpg)
[FETV=유길연 기자] 올해 연이어 터진 사모펀드 사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3분기까지 금융사에 제기된 민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9월 말 까지 금감원이 접수한 금융 민원은 총 6만8917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9% 늘어났다.
특히 금융투자(80.5%)와 은행(23.5%) 부문의 민원이 급증했다. 생명보험(7.7%), 손해보험(7%), 중소서민(6.4%) 등 나머지 부문에서도 작년에 비해 증가했다.
금융투자사와 은행에 대한 민원이 급증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사모펀드 사태다. 증권회사에 제기된 펀드 관련 민원은 961건으로 작년 동기(64건) 대비 약 15배로 불었다. 은행의 경우 작년 동기 대비 2배가 넘는 762건이 펀드 관련 민원이었다.
이와 함께 증권사의 경우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연계상품을 비롯한 파생상품 관련 민원도 작년 동기(36건)의 5배가 넘는 192건으로 조사됐다.
은행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민원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신규대출과 만기 연장 등이 크게 늘면서 민원도 함께 증가했다. 은행 민원 9254건 가운데 3323건(35.9%)이 여신(대출)과 관련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2040건) 대비 62.9% 증가한 규모다. 자격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해 은행에서 요구를 거절당했거나, 지원을 받는 방법을 몰라 도움을 요청한 민원 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보험권에서는 외화보험 판매 관련 민원이 208건으로 작년 동기(108건)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환율이나 금리 변동 위험 등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지 못했다는 내용 등이 주된 이유였다.
중소서민회사의 채권 추심 관련 민원은 올해 3분기까지 2890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70.5% 늘었다. 대부업자의 과도한 채권 추심을 막아달라는 민원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