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가운데)이 지난 3월 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5대 금융지주과 조찬 간담회를 열고 코로나19 피해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730/art_15955080348969_4572d8.jpg)
[FETV=유길연 기자]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를 재연장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등은 이날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조찬 간담회에서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의 연장여부, 연장 범위나 기간 등은 향후 코로나19 영향 추이와 기업 자금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은행권은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방침에 따라 오는 9월말까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상환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가 기정사실화되자 일각에서는 기간을 재연장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회장단과 은 위원장은 이번 사안에 대해 "다음달 중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실물경제 상황과 기업 애로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심도 있게 계속 논의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회장단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에 협조해 달라는 은 위원장의 요청에는 적극적으로 응했다. 이들은 "한국판 뉴딜이 국민의 다양한 투자수요를 충족할 새 투자처가 될 수 있는 만큼 금융권의 참여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지주 회장들은 최근 네이버·카카오 등 빅테크(대형 정보통신 기업)이 공격적으로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상황에서 기존 사업자들이 갖는 불만도 은 위원장에게 전달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 신용카드사-빅테크간 규제 형평성 문제(마케팅 제한, 레버리지비율 등) ▲ 대출 모집 1사 전속주의(핀테크 예외) 규제 형평성 문제 ▲ 계열사간 정보공유 관련 지주사-빅테크 차별적 규제 ▲ 마이데이터 관련 금융사-빅테크 교환 데이터 범위 불균형 ▲ 간편결제 사업자 후불결제 허용에 따른 기존 카드사 역차별 ▲ 핀테크 업체의 금융결제망 이용에 따른 수수료 감면 문제 등을 제기했다.
이에 은 위원장은 금융당국·금융권·빅테크가 모여 상생·공존 방안을 논의하는 '빅테크 협의체'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협의체에는 금융·정보통신기술(IT) 업계, 감독당국·유관기관, 민간전문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협의체에서 공정 경쟁, 시스템 리스크, 소비자 보호 등 폭넓은 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쟁점별로 도출된 대응 방안은 내년 금융위 업무계획에 반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