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난해 GDP 대비 토지자산 4.6배 '최대'...전년 대비 토지자산 6.6%↑

 

[FETV=유길연 기자]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에 비해 토지자산이 6배 빠르게 증가하면서 GDP 대비 국내 토지 자산의 배율이 4.6배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의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국가 전체의 부(富)라고 할 수 있는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1경6622조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058조원(6.8%) 늘었다.

 

작년 국민순자산 가운데 비금융자산(순자산의 96.5%)이 1경6042조원이었다. 순금융자산(순자산의 3.5%)은 580조원을 기록했다. 

 

GDP 대비 국민순자산 비율은 8.7배로, 1년 전(8.2배)보다 올랐다. 이는 지난해 토지 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이 올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작년 말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4.6배를 기록했다. 이는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GDP(명목기준)가 1.1% 늘어났지만 토지 자산은 6.6% 증가한 결과다. 토지 가운데서도 건물 부속 토지의 자산 증가율은 7.3%에 달했다.

 

지식재산생산물 자산은 연구개발(R&D) 투자가 계속 확대됨에 따라 전년 대비 8.3% 늘어난 52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가계 자산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9307조원이었다. 이는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56.0%를 차지하는 규모로 전년과 같은 비중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가운데 주택(50.8%)과 주택 외 부동산(25.2%)은 전체 4분의 3을 차지했다. 순금융자산의 비중은 22.6%였다. 

 

작년 말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8만원(추계 가구 2011만6000호 기준)으로 1년 전(4억3838만원)에 비해 5.5%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구매력평가지수(PPP) 환율 기준으로 따지면 53만800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8년도 기준 미국(86만3000달러), 호주(74만2000달러) 캐나다(59만9000달러)보다는 적은 수준이지만 프랑스(52만1000달러), 일본(48만6000달러)보다는 많다. 

 

고정자산이 일정 기간 생산과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양을 의미하는 자본서비스물량은 2017년 이후 2년째 하락해 지난해 3.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