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729/art_1594966901371_d29bc4.jpg)
[FETV=유길연 기자] 시중은행이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한국판 뉴딜’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 적극 동참한다. 실물과 금융 부문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21대 국회 개원연설 이후 박병석 국회의장 등과 가진 환담에서 "오랫동안 금융 쪽이 호황을 누렸기 때문에 금융자산과 민간자본을 활용하는 민간펀드를 만들어 한국판 뉴딜사업을 추진하려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마련한 국가 프로젝트다.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등 세 개를 축으로 분야별 투자 및 일자리 창출이 이뤄진다. 정부는 이를 위해 총 160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190만 1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금융권의 ‘맞형’인 은행이 한국판 뉴딜 재원 마련에 동참하라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은행은 최근 몇 년간 역대급 실적을 이어가면서 금융사 가운데 가장 큰 호황을 누렸다. 지난 2017년 4대 시중은행은 전년 대비 약 2조원 급증한 7조5014억원의 순익을 거두더니 2018년에는 8조6573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는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8조원대를 유지했다. 이에 작년 4대 금융지주는 당기순익 기준 10위 기업 리스트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최근 중소기업벤처부가 조성하기로 한 ‘스마트대한민국 펀드’에 은행권이 참여하기로 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스마트대한민국 펀드는 정부가 스타트업 육성과 디지털 전환을 위해 조성하는 민관합동 벤처펀드다. 중기부는 추가경정예산 2000억원과 함께 은행 5곳과 크래프톤 넷마블 등의 디지털 기업에서 각각 1000억원을 모아 4000억원의 모(母)펀드를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729/art_15949669507615_26b7da.jpg)
이러한 정부의 요청에 대해 은행권은 힘을 모으겠다는 입장이다. 최근 코로나19 충격 등 실물 영역의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은행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현실 진단에 공감한다는 반응이다. 실물 기업의 부실은 곧 은행의 대출 자산의 부실로 돌아오기 때문에 은행도 손 놓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와 은행이 협력해 진행하고 있는 코로나19 피해 지원책도 과거와 달리 상호 합의를 통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 예로 지난 3월 10조원 규모로 조성하기로한 채권시장안정화펀드도 은행 입장에서는 크게 무리가 따르지 않는 지원책이었다. 채안펀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지난 2008년 12월 처음 설정됐는데 이 때 은행들은 총 6조원을 출자했다. 이 때 투입된 금액은 2012년 전액 회수됐고, 4% 중반대 수익도 났다. 또 금융당국은 최근 BIS자기자본비율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은행이 정책을 따르는데 수반되는 어려움을 해결해주기도 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굵직한 제조기업들이 작년 당기순익 10위권에 들지 못했다는 것은 그만큼 실물 영역이 어렵다는 것을 방증해준다”며 “실물 경제가 활성화 돼 은행도 지속가능한 경영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지원을 다 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은행의 건전성 관리는 여전히 부담이다. 최근 은행권은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역대급 대출 증가를 기록하고 있다. 2분기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규모는 45조4000억원으로 작년 한 해 증가액(44조9000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이에 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과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지 않은 상황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대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은행은 건전성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긴 하다”라며 “하지만 최근까지 연체율도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또 어려운 부분이 발생하면 금융당국도 이에 대한 조치를 내릴 가능성이 커 정책을 따르는데 큰 무리는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