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유길연 기자] 정부가 우리금융지주의 완전 민영화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예보)의 지분을 매각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다만 지분 매각은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되면 한다는 조건을 달아 향후 시장의 전개에 따라 계획이 변경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22일 제160차 공자위·매각소위원회 합동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위원들은 지난해 6월 마련한 우리금융 지분 매각 로드맵을 유지하고 하반기에 우호적인 여건이 갖춰지면 매각을 시작할 수 있도록 시장 상황을 주시하기로 합의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마련한 로드맵에서 올해 상반기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약 2∼3차례에 걸쳐 예보가 가진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매각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예보는 우리금융지주 지분 17.2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하지만 최근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1만원 아래로 떨어지는 등 부진하자 정부는 매각을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 정부가 ‘본전치기’로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적정 주가는 1만2300원 가량으로 전해진다.
예보는 1997년 외환위기 후 한일은행, 상업은행 등 부실화된 금융사를 합병해 2001년 우리금융지주를 세워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이 과정에서 예보는 우리금융지주 주식 7억3000만주(100%)를 취득했다.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총 12조8000억원이다. 이후 공모·블록 세일을 통한 지분 매각, 과점주주 매각 등으로 11조1000억원(올해 2월 말 기준)을 거둬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