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91148/art_15748372564544_75d4de.jpg)
[FETV=정해균 기자] 내수 부진 속에서 도소매 업종의 대출이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산업대출 잔액은 1183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9% 증가했다. 2분기 7.4%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속도는 지난 7월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다소 누그러졌다.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 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체 서비스업 대출은 3분기 중 16조1000억원 늘어 2분기(16조2000억원) 증가 수준과 비슷했다. 서비스업 중 도소매업의 대출이 4조9000억원 늘어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율을 나타내 증가 속도가 빨랐다. 도소매업 대출 증가율은 지난 2017년 2분기만 해도 5% 수준이었지만 이후 증가속도가 꾸준히 빨라지고 있다.
특히 제2금융권에서 빚을 늘리면서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이 3분기 중 3조4000억원 늘어 1년 전보다 38.3%나 늘어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는 내수 불황으로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 등이 2금융권에서 돈을 많이 빌렸다는 의미이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을 합한 3분기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 증가액은 4조3000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1.7% 늘었다. 반면 은행권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을 합한 제조업 전체 산업대출은 3분기 중 1조9000억원 늘어나 지난해 같으 기간 대비 2.9% 증가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