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철강·중공업


국내 선박수주, 중국에 밀려 2위로 추락

중국, 자국 물량 싹쓸이

 

[FETV=김현호 기자] 한국이 지난달 선박수주에서 5개월 만에 2위로 밀렸다. 자국 물량 위주로 65%를 쓸어간 중국이 1위를 차지했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9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14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 44척) 가운데 한국이 28%(32만CGT·9척)를 수주했다. 중국 수주량은 74만CGT, 30척이고 3위인 일본이 8만CGT(5척)다. 중국은 수주량 중 자국물량 비중이 53%에 달했다. 선종별로 중국은 중형 벌크선(8만t급), MR탱커(5만t급)가 절반 이상인데 한국은 초대형 유조선(VLCC), 액화천연가스(LNG)선 위주였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 수주량은 한국이 527만CGT(34%)로 2위다. 중국은 598만CGT(39%)로 1위다. 일본 196만CGT(13%)과 이탈리아 114만CGT(7%)가 그 뒤를 따랐다. 삼성중공업이 인도한 LNG추진 원유운반선 3분기(7∼9월)만 보면 한국이 170만CGT(51%)로 1위이고 중국은 135만CGT(41%)로 2위다. 지난달 선박 발주량은 전월의 122만CGT(41척)에 비해 7% 감소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계 발주량은 1천539만CGT로 작년 같은 기간(2천696만CGT)에 비해 43% 줄었다. 발주량을 선종별로 보면 수에즈막스(S-Max)급 유조선은 작년 동기 대비 64%(33만CGT→54만CGT) 뛰었고 아프라막스(A-Max)급 유조선도 57%(61만CGT → 96만CGT) 증가했다. 반면 LNG선(14만cbm 이상)은 30%, 초대형 유조선(VLCC)은 53%,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은 78% 감소했다. 남은 일감인 수주잔량은 7577만CGT으로 전월보다 2% 줄었다. 중국이 2727만CGT(36%)으로 가장 많고 한국 2024만CGT(27%), 일본 1284만CGT(17%)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일본이 28% 줄었고 중국 10%, 한국 6% 감소했다.

 

9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30포인트로 지난달과 같다. LNG선과 VLCC는 1억8550만 달러와 9250만 달러로 변동 없고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급, 2만∼2만2000TEU급)은 각각 1억1100만 달러, 1억4600만 달러로 소폭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