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류제형 기자] 삼성중공업이 국내 대표 선사인 H라인해운과 '선박용 디지털 솔루션 협력 양해각서(MOU)'를 29일 체결했다. 양사는 대형 선박의 운항 효율성과 안전성 향상에 필요한 선박 디지털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하고 실선 적용을 통한 상용화 검증에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MOU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H라인해운이 발주해 거제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LNG운반선에 '경제운항 솔루션'과 '선박관리 솔루션'을 탑재한다. 한국-호주 노선에서 운항 중인 벌크선에는 '경제운항 솔루션'과 '환경규제 대응 솔루션'을 적용하여 실제 운영 환경에서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할 예정이다. '경제운항 솔루션'은 AI와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해 선박의 운항 조건과 따른 최적 항로와 운항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연료 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LNG운반선에서는 화물창내 증발가스를 최적화해 연료 사용량과 화물 손실을 감축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 시스템이다. '선박관리 솔루션'은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해 항해 중 선박 주요 장비의 상태와 운항 조건에 따른 구조 강도, 피로 성능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선
[FETV=류제형 기자] 한화시스템이 2025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약 6901억원 ▲영업이익 582억원 ▲당기순이익 41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약 1459억원(26.8%) 증가, 영업이익은 127억원(27.9%) 증가, 당기순이익은 93억원(-18.5%) 감소했다. 한화시스템의 ▲폴란드 K2 사격통제시스템 수출 ▲UAE·사우디아라비아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수출 ▲차세대 군용 무전기 TMMR 2차 양산 등 대규모 수출과 양산 사업들이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방산 부문에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II) 다기능레이다(MFR)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다기능레이다(MFR) ▲한국형 전투기(KF-21) 핵심 장비인 AESA레이다 초도 양산 등 체계개발 및 양산 사업을 통한 견조한 실적 흐름을 기대하고 있다. ICT 부문 또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충북 보은 MCS(모듈화장약) 공장 지능화 물류 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제조 분야의 사업이 예정돼 있다.
[FETV=류제형 기자] 두산밥캣은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을 28일 발표했다. 전년도 기저효과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2조98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9% 줄어든 2000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영업이익률은 9.5%로 집계됐다. 전분기와 비교해 계절적 영향으로 매출액은 2% 하락했으나 물류비 절감과 판가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1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 1257억 원을 저점으로 2분기 연속 증가하며 개선세를 이어갔다. 두산밥캣의 재무제표 작성 통화인 미국 달러 기준으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0%, 44% 감소했다. 경기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우려로 수요가 둔화하며 각 제품 및 지역 별로 20% 수준의 하락을 보였다. 제품별로는 달러 기준 소형 장비 부문 22%, 산업차량 부문 20%, 포터블파워 부문에서 22%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달러 기준 북미 22%, 유럽·중동·아프리카 21%, 아시아·라틴아메리카·오세아니아 지역에서 21% 감소했다. 지난 24일 두산밥캣은 1분기 배당금을 1주당 400원으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두산밥캣은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연간
[FETV=류제형 기자] 한화오션은 생산력 향상을 위해 2027년 3월말까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 1기와 6500톤급 초대형 해상 크레인을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약 6000억원의 투자를 통해 생산량과 건조 효율성을 증대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배가시켜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신규 부유식 도크는 길이 480m, 폭 97m, 부양 능력 18만 톤의 초대형 규모다. 이 부유식 도크가 본격 가동되면 기존 도크들과의 역할 분리를 통해 생산 최적화로 선박 생산량 증대가 가능해진다. 한화오션은 현재 육상 도크(Dry Dock) 2기, 부유식 도크 3기 등 총 5기의 도크를 운영 중이다. 6500톤급 초대형 해상 크레인은 대형 블록을 직접 인양 및 탑재할 수 있어 기존 3600톤급 해상 크레인 2기를 병렬로 운영해야 했던 복잡한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 효율성이 대폭 향상될 전망이다. 해당 해상 크레인은 2027년 11월 말까지 도입해 생산공정에 투입될 예정이다. 한화오션은 이번 설비 투자를 통해 외부 임차 설비 의존도를 줄이고 선박 생산량 및 건조 효율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FETV=류제형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오세아니아 선사와 ▲8400TEU급 컨테이너선 4척 ▲2800TEU급 컨테이너선 8척 ▲1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총 2조5354억 원의 규모의 컨테이너선 22척을 수주했다. 앞서 지난 23일에는 28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수주하고 24일에는 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수주했다. 나흘새 총 22척의 컨테이너선을 수주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수주액은 총 총 2조5354억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울산 HD현대미포에서 16척(28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1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 전남 영암의 HD현대삼호에서 6척(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 2척/8400TEU급 컨테이너선 4척)을 각각 건조해 2028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HD현대삼호에서 건조하는 8400TEU급 컨테이너선에는 LNG와 디젤을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LNG 이중연료 엔진(DF)이 탑재된다. 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에도 배기가스 저감장치인 스크러버가 탑재돼 강화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대응할 계획이다. HD현
[FETV=류제형 기자] 삼성중공업이 아시아 지역 선주와 컨테이너운반선 2척을 5619억원에 계약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 선박은 2028년 1월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올들어 ▲LNG운반선 1척 ▲셔틀탱커 9척 ▲에탄 운반선 2척 ▲유조선 4척 ▲컨테이너운반선 2척 등 18척, 총 26억 달러를 수주함으로써 연간 목표 98억 달러의 27%를 달성하고 있다. 컨테이너운반선, 원유운반선은 노후선 비중이 높은데다 환경규제로 인한 교체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다양한 선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중이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을 유지하면서 연간 2기 정도 FLNG 계약을 확보해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효율적 균형을 맞춰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