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원일 기자]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를 열고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올해보다 2~3%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정부 부동산 대책에도 매수 심리 회복세, 신축 공급 지연이 계속된다는 분석이다.
내년 집값은 전반적으로 전 고점을 회복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봤다. 비수도권은 보합(0%) 또는 1% 안팎 하락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 사이 양극화가 더 확대돼 지방은 수요가 위축된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 시장에서 전 고점 회복 흐름이 나타났고 수도권-지방 양극화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됐다고 평가했다.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이 모두 회복된 반면, 지방은 미분양 주택 누적과 수요 약세로 가격 하락과 거래 정체가 이어졌다는 것이다.
고 부연구위원은 내년 수도권 주택 시장을 두고 "수도권 착공 감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험, 3기 신도시 개발 지연 등 구조적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이어져 2~3% 수준 집값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은 인구와 수요 기반이 약화해 1% 안팎 하락 또는 보합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내년 건설경기는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가 내년에는 반등해 2% 증가한 269조 원 수준을 기록하겠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 물량 감소가 이어진다는 것이다. 박선구 건정연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나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와 안전 규제 부담이 경기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