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5.8℃
  • 맑음서울 15.1℃
  • 흐림대전 13.2℃
  • 흐림대구 13.2℃
  • 흐림울산 14.0℃
  • 흐림광주 12.2℃
  • 흐림부산 14.6℃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2.3℃
  • 흐림보은 12.6℃
  • 구름많음금산 13.0℃
  • 흐림강진군 12.9℃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2.9℃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컨콜-롯데케미칼] 성낙선 CFO "5000만 달러에 LCPL 매각, 투자는 EBITDA 내에서"

3분기 영업손실 1326억, 전년 동기 대비 68.2% 개선
공급과잉 지속으로 석유화학 부문 가동률 상승 힘겹다

[FETV=이신형 기자] 롯데케미칼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132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을 68.2% 개선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4조7861억원, 영업손실 1326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지만 영업손실은 일회성 비용 제거, 원료 가격 안정화 등으로 전년 동기 4174억원 대비 68.2%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먼저 기초화학 부문은 매출 3조3833억원, 영업손실 1225억원으로 적자가 축소됐다. 롯데케미칼은 정기보수 종료에 따른 일회성 비용 제거와 원료가 하향 안정화로 스프레드 개선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4분기 전망에 대해서는 원료가 안정세가 예상되나 대외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수요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222억원, 영업이익 575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전방산업 수요감소 및 보수적 재고운영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4분기에는 계절적 비수기 진입과 정기보수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 4434억원,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217.2% 증가한 276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염소계열 제품 판가 상승과 정기보수 종료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4분기 전방산업 보합세 속에서도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 전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 1437억원, 영업손실 343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재고조정 및생산성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객사 재고조정 영향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4분기 전망에 대해서는 원료가 강세와 전방 산업 불확실성 등 어려운 외부 환경이 예상되나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판매 확대 노력 지속된다고 전했다. 

 

롯데케미칼은 “중장기 경쟁력 확보 및 현금흐름 개선을 위해 구조적인 사업 체질 개선 활동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정부의 석유화학 산업 구조조정에 적극 대응하고 비핵심 자산 매각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본원적 경쟁력 확보와 재무 안정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아래는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인도네시아 라인 프로젝트 관련해 에틸렌·프로필렌 모노머 외판 여부와 타이탄 영업적자 축소 가능성은?

 

A. 곽기섭 기초소재 경영지원본부장
인도네시아장은 현재 약 80% 가동 중이며 생산된 에틸렌의 45만톤(약 60%)을 LCTN에 공급하고 나머지 40%는 외판 중이다. LCTN에 파이프라인으로 공급하면서 기존 선박 공급 대비 운송비를 절감해 영업적자 폭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Q. HD현대케미칼과의 통합 시 동일한 피드라인으로 실질 시너지가 가능한가?

 

A. 김민우 전략기획본부장
납사 크래커는 설비 특성상 턴다운 비율이 존재해 유연한 가동률 조정이 어렵다. 현재 여수·대산 두 사이트로 분리돼 있어 최적 효율 달성이 제한적이었으나 대산 단지 내 통합으로 가동률·원가를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시황 악화 시 크래커 1기 셧다운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손실을 수천억 단위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부 분석됐다. 현재는 손실 줄이는 수익성 방어 중심이며 시황 회복 시 효과는 다소 축소되지만 통합 효율은 지속될 것으로 본다.

 

Q. 비핵심 자산 매각 규모와 시기, 중장기 CAPEX(투자) 계획은?

 

A. 성낙선 재무혁신본부장
LCPL(파키스탄 자회사) 매각이 확정돼 약 5000만달러 수준이 이번주 중 입금될 예정이다. 향후 CAPEX는 ‘EBITDA 내 투자’ 원칙을 유지한다. 안전·환경 등 필수투자를 제외한 신규 투자는 수익성 기준으로만 집행할 계획이다.

 

Q. 4분기 실적 전망과 라인 프로젝트(LCI) 손익 전망은?

 

A. 곽기섭 기초소재 경영지원본부장
4분기 기초화학 부문은 납사 공급 증가와 연말 수요 부진으로 단기 판가 약세가 예상되지만 사업재편 및 원가개선으로 적자폭은 완화될 전망이다. 첨단소재·정밀화학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확대로 견조한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

 

LCI(인도네시아)는 3월 기계적 준공 후 10월15일부터 상업생산 중이며 가동률은 약 80% 수준 유지중. 현재는 시장 안정화 단계로 단기 실적 기여는 제한적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내수 기반 확대와 LPG 투입 비중 확대, 현지 수요처 발굴 및 고수익 전략 제품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Q. 2026년 석유화학 업황 전망 및 추가 비핵심 자산 매각 계획은?

 

A. 권조현 기초소재 모노머본부장
글로벌 납사크래커(NCC) 가동률은 2025년 84% 수준. 내년 약 1000만톤의 신규 설비(70%가 동북아 집중) 증설이 예정돼 있다. 이에 따라 2026년 가동률 상승은 어려울 것이며 2028년부터 신증설 둔화로 점진적 회복이 예상된다.

 

A. 김민우 전략기획본부장
비핵심 자산 중 일부는 PRS(지분 매각형 자금조달)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LCI 법인 관련 투자자 협의도 있으나 아직 구체적 단계는 아니다. 경영권 매각 형태의 자산 매각은 현재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으며 현실화 시 별도 공지 예정.

 

Q. 구조조정 시 첨단소재 원재료 수급 영향 여부는?

 

A. 주우현 첨단소재 경영지원본부장
첨단소재 부문은 일부 원재료를 기초소재에서 조달하지만 외부 석화사 및 수입 비중이 높아 가동률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Q. 고부가 제품 성장 가능성은?

 

A. 천양식 기초소재 폴리머본부장
기초소재 고부가 제품은 전기전자용 분리막, 의료용 소재 등이 수익 기여도가 높다.

 

A 주우현 첨단소재 경영지원본부장
첨단소재에서는 PC(난연·고내열), ABS(난연·투명) 제품이 고수익 라인으로 판매 확대 중이다.

 

A. 성낙선 재무혁신본부장
자회사 한덕화학(도쿠야마 JV)은 반도체 세정제를 생산하며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평택 신공장 증설중으로 완료 시 매출과 영업이익 확대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