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카카오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2조866억원, 영업이익 208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영업이익은 59% 증가했다. 처음으로 분기 기준 영업이익 2000억원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뒀다.
사업 부문별로 플랫폼 부문 매출은 1조 5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플랫폼 중 톡비즈 매출은 5344억원으로 7% 늘었으며 이 중 광고 매출은 3254억원으로 11% 증가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선물하기·톡딜 등 커머스 매출은 2087억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추석 연휴가 10월로 이연됐음에도 선물하기 거래액은 1% 증가했고 자기구매 거래액은 40% 늘었다.
모빌리티·페이 등을 포함한 플랫폼 기타 매출은 4527억원으로 24%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의 금융 자회사 성장과 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1조267억원으로 5% 증가했다. 뮤직 매출은 5652억원으로 20%, 미디어 매출은 958억원으로 75% 증가했다. 뮤직은 주요 아티스트의 활동이, 미디어는 제작률 상승과 작품 매출 인식이 실적에 반영됐다.
카카오는 대화형 AI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카카오톡 내 ‘카나나 인 카카오톡’, ‘카카오 툴즈’와 연동한 AI 서비스 ‘ChatGPT for Kakao’를 선보였으며 향후 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로 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
Q. 9월 카카오톡 개편 이후 이용자 체류 시간 등 인게이지먼트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A. 정신아 대표
이번 개편 이후 일평균 체류 시간은 24분대에서 26분에 근접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특히 채팅 외의 트래픽이 증가하며 ‘친구 탭’과 ‘지금 탭’의 체류 시간이 3분기 평균 대비 10% 이상 늘어났다. 카카오톡 트래픽이 대화방 중심에서 콘텐츠 탐색 중심으로 확장되며 플랫폼 전반의 체류 질이 개선됐다는 평가다.
회사는 채팅 기능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지속적 개선을 통해 카카오톡 내 체류 시간을 20% 이상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Q. 3분기 톡비즈 광고 매출이 전년 대비 10% 이상 성장했는데 4분기에도 같은 수준의 성장세가 가능한가
A. 신종환 CFO
3분기에는 국내 광고 시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광고가 5개 분기 만에 반등했다. 일부 광고주들이 경쟁 플랫폼 예산을 카카오로 이동한 사례도 확인됐다. 카카오톡 개편에 따라 신설된 광고 지면의 효과는 3분기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지만 9월에는 역대 월 최대 매출을 기록한 만큼 4분기부터 구조적 성장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 ‘ChatGPT for Kakao’와 ‘카나나 인 카카오톡’의 초기 반응은 어떤가?
A. 정신아 대표
‘ChatGPT for Kakao’는 출시 10일 만에 이용 약관 동의자 200만명을 돌파했다. 초기 안정성과 접근성을 기반으로 발신·수신 메시지 수와 체류 시간이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일일 평균 체류 시간은 약 4분 수준까지 상승했다. 이는 카카오톡이 단순 메시징을 넘어 탐색·검색 중심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장기적으로는 AI 서비스의 확장성과 수익화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Q. 카카오의 에이전트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설명해달라
A. 정신아 대표
핵심 파트너와는 직접 협업을 추진하고 중소 규모 사업자는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동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카오는 '플레이 NCP'와 '에이전트 빌더'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파트너 참여를 확대하고 있으며 커머스·금융·여행 등 주요 영역에서도 협력 논의가 진행 중이다.
Q. 3분기 영업이익 급증에 일회성 요인이 있었나 그리고 4분기 실적 전망은?
A. 신종환 CFO
4분기에는 톡비즈 광고,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등 주요 플랫폼 부문에서 모두 긍정적인 실적이 기대된다. 커머스는 명절 수요 반영과 선물하기 내 자기 구매 거래액 증가로 매출이 확대될 전망이다. 모빌리티와 페이는 신규 성장동력 확보와 비용 효율화로 영업이익 기여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콘텐츠 부문은 계절적 비수기와 신작 공백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역성장이 예상된다. 카카오게임즈는 기존 타이틀 매출 하향 안정화로 수익성 부담이 이어지고 뮤직 부문 역시 비수기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비용 측면에서는 핵심 사업 중심의 투자가 이어지지만 전체 수익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효율적 집행 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