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넷마블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960억원, 영업이익 909억원, 당기순이익 406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 전분기 대비 3.0%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8.8%, 당기순이익은 97.1% 증가하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3분기 해외 매출은 4726억원으로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북미 34%, 한국 32%, 유럽 11%, 동남아 8%, 일본 8%, 기타 7%로 고르게 분포됐다.
특히 ‘뱀피르’의 흥행과 ‘세븐나이츠 리버스’의 온기 반영이 더해지며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견인했다.
자체 IP 비중 확대에 따른 지급수수료율 감소세도 이어지면서 영업이익률은 13.1%를 기록했다.
넷마블은 4분기에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OVERDRIVE’를 선보이고, 2026년에는 ▲‘스톤에이지 키우기’ ▲‘일곱 개의 대죄: Origin’ ▲‘SOL: enchant’ ▲‘몬길: STAR DIVE’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이블베인’ ▲‘샹그릴라 프론티어: 일곱 최강종’ ▲‘프로젝트 옥토퍼스’ 등 총 8종의 기대작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넷마블은 오는 11월 13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G-STAR 2025’에서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몬길: STAR DIVE’, ‘SOL: enchant’ 등 5종의 신작을 공개할 예정이다.
■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
Q. 구글·에픽게임즈 수수료 합의가 넷마블 실적에 미칠 영향과 자체 결제 확대 계획은?
A. 김병규 대표
현재 일부 해외 게임에는 이미 자체 결제가 적용돼 있으며 회사는 구글·에픽 합의 등 외부 변수보다는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경험 개선을 중심으로 결제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
Q. 교환사채(EB) 발행 목적과 향후 차입금 상환 계획은 어찌되나
A. 도기욱 CFO
현재 추가적인 대규모 차입 계획은 없으며 중장기적으로 재무 건전성 강화를 목표로 최적의 구조를 지속적으로 모색 중이다.
Q. 인건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배경과 지급수수료율 관리 방향은 무엇인가
A. 도기욱 CFO
지급수수료율은 자체 IP 비중 확대와 PC 결제 이용률 상승에 힘입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마켓 수수료 비중이 점진적으로 줄고 있으며 IP 수수료 역시 경쟁력 있는 자체 게임 중심의 라인업으로 구성된 결과 자연스럽게 완화되고 있다.
Q. 영업외 손익 변동 요인은 무엇인가?
A. 도기욱 CFO
현재 4분기 기준으로는 하이브 주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평가손익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Q. 4분기 실적 전망과 일회성 비용 발생 가능성은 어떠한가
A. 도기욱 CFO
비용 측면에서는 계절적 요인이나 일회성 비용 발생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공정가치 평가 결과에 따라 일부 영업외 변동 가능성은 남아 있다.
Q. 자체 게임 매출 비중과 향후 목표에 대해 말씀 부탁드린다.
A. 김병규 대표
내부에선 자체 IP 확대와 자체 결제 비중 강화가 장기적으로 영업이익률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추진 속도를 유연하게 조정할 계획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