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임종현 기자] JB금융그룹은 디지털금융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달 30일~31일 양일간 그룹 연수원 아우름캠퍼스에서 ‘2025 JB Forum’을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외부 업체와의 협업 DNA를 장착한 JB금융은 약 3년 만에 JB금융그룹을 포함해 12개 사 핀테크, 플랫폼, 스타트업이 연결된 하나의 금융 생태계를 구성하고 첫 결실로 JB Forum을 개최했다.
올해 처음 진행된 이번 포럼은 ’Hello Tomorrow(함께한 시간이 내일의 가치로 이어진다는 의미)’ 슬로건을 내세웠다. JB금융과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은 파트너사 간 역량과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상호 간 사업적 시너지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 실질적인 JB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획됐다.
포럼에는 JB금융그룹의 전략적 파트너사인 핀다, 한패스, 웹케시그룹, 인피나(Infina), 오케이쎄(OKXE), 메디아크, 엔코위더스 등 국내외 주요 핀테크 및 플랫폼 기업이 참석했다. JB금융을 비롯해 전북은행, 광주은행, JB우리캐피탈, JB인베스트먼트 등 전략적 협업과 관련된 주요 계열사도 함께했다.
포럼 행사는 각 파트너사의 발표 세션으로 시작됐다. 각 사는 자사의 핵심 서비스와 JB금융그룹과의 협업 사례 등을 소개하고 생태계 내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다양한 형식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자 간 교류를 확대하고 향후 공동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협업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시간을 가졌다.
베트남, 인도네시아의 파트너사 CEO 및 협업 실무를 담당하는 관계자 들이 직접 한국을 방문해 이번 포럼을 참석했다. JB금융은 실시간 AI 번역 시스템을 활용해 외국인 참석자들이 발표 세션에 원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JB금융의 외국인 직원들도 현장 네트워킹을 지원하며 다국적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김기홍 JB금융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새로운 세상을 바라보고 변화와 맞닥뜨리며 그것을 기회로 삼는 핀테크 DNA를 JB금융그룹에 심고 싶었다”고 강조하며 발상의 전환과 과감한 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JB포럼은 파트너사 간 단순한 사교나 교류의 장을 넘어서 긴밀한 네트워킹을 통해 상호 사업적 시너지를 발굴하고 JB그룹의 임직원 또한 혁신적 사업 아이디어와 스타트업 DNA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기획 됐다”며 “AI와 디지털자산 등 미래 핵심 분야 및 그룹 시너지를 강화하기 위한 신규 파트너를 지속 발굴해 내년에는 더욱 심도 있는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행사에 참가한 베트남의 자산관리 플랫폼 인피나(Infina)의 제임스 브엉(James Vuong) 대표는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갖고 계신 그룹 회장님과의 대화를 통해 많은 영감을 받을 수 있었고 한국의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미래 협력사업 등을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어 의미가 컸다”며 “이번에 만난 한국 핀테크 기업들과의 논의가 실제 협업으로 이어질 것 같아 기대된다”고 말했다.
JB금융과 처음 전략적 협업을 시작한 국내 대출비교플랫폼 핀다의 이혜민 공동대표는 “이번 포럼을 통해 JB의 파트너십 네트워크가 얼마나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지 체감했다”며 “다음 포럼행사에서는 JB금융그룹과 연결된 더 많은 커뮤니티가 만들어져 파트너사 간 시너지가 한층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JB금융은 국내외 핀테크, 플랫폼 기업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한 ‘인오가닉 성장 전략’을 지속 추진하며 금융과 기술이 융합된 JB만의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JB포럼을 정례화하고 파트너사 간 협업 시너지의 발굴·강화를 통해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