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고령화·외인화의 그늘…현대건설, 자동화와 그 한계

[FETV=박원일 기자] 국내 건설현장은 지금 전환점에 서 있다. 한때 젊은 노동력으로 북적이던 현장은 내국인 청년층의 유입이 눈에 띄게 줄어 이제 50~60대 이상 고령 근로자가 주축이 됐다. 현장마다 ‘젊은 사람 보기가 어렵다’는 말이 현실이 됐다.

 

빈자리를 채우는 것은 외국인 근로자들이다. 건설업의 외인화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흐름이 됐다. 하지만 언어·문화 장벽과 기술 수준의 차이는 ‘생산성’과 ‘안전’에 새로운 부담을 안긴다. 숙련도 격차로 인한 공정 지연·안전사고 우려는 현장의 고질적인 고민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인력난 속에서 대형 건설사들은 ‘기술이 답’이라며 스마트 건설, 자동화, 로봇 시공 등에 힘을 쏟고 있다. 현대건설도 예외가 아니다. 디지털트윈, 로보틱스,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건설 기술을 포함해 전 구간 실시간 모니터링 디지털 관제부터 웨어러블 로봇, 자율주행 드론까지 첨단 건설기술 등으로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이 현장 문제를 단숨에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로봇은 정형화된 작업에는 능하지만 불규칙하고 복잡한 공사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한다. 첨단 장비를 도입해도 이를 운용할 숙련 인력과 시스템 이해도가 부족하면 효과는 제한적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기술 도입과 현장 문화의 간극이다. 디지털 전환은 본사와 연구소의 의지로만 가능하지 않다.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가 기술의 필요성과 효용을 체감하지 못하면 새로운 시스템은 금세 ‘형식적 보고용’으로 전락한다.

 

현대건설을 비롯한 업계가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음에도 성과가 더디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단순한 장비 투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이 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설계하는 일이다.

 

결국, 건설 자동화의 성공은 기술보다 사람에게 달려 있다. 인력 재교육, 다문화 협업 체계 구축, 안전관리 표준화가 병행돼야 한다. 자동화의 속도를 높이기보다 기술과 사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사람 없는 현장’을 꿈꾸기보다 ‘사람과 기술이 함께 일하는 현장’을 구현하는 것이 진짜 스마트 건설의 길이다. 그것이야말로 현대건설이, 그리고 한국 건설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유일한 해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