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건설·부동산


대우건설, ‘ESG’ 현장 도입 확대…‘비용·공기’ 부담↑

저탄소 콘크리트·친환경 장비 확대→원가·일정 압박 가중
재활용 자재 논란·분양가 규제 겹치며 현장 어려움 심화

[FETV=박원일 기자] 대우건설을 비롯한 국내 건설사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핵심 경영 화두로 내세우며 현장에서 친환경 기술·장비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원가 상승’과 ‘공기 지연’이라는 현실적 제약에 직면하면서 ESG는 기업 이미지·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수익성과 충돌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대우건설은 한라시멘트와 함께 개발한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DECOCON; Daewoo ECO CONcrete)’를 통해 환경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 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보다 시멘트 사용량을 평균 112kg/㎥까지 줄여 CO₂ 배출을 약 54% 저감하는 효과를 달성했다.

 

 

특히, ‘조강 슬래그시멘트’를 활용해 일반 시멘트보다 10~30% 더 우수한 조기강도를 자랑하며, 동절기 콘크리트 강도 지연과 품질 하자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온도나 계절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직접 타설할 수 있어 공동주택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국내 최초 개발되었다.

 

대우건설은 이미 6개의 현장에서 이를 적용했고 그 효과가 입증되면서 친환경 기술이 국내 건설업계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자재에 비해 단가가 비싸 공사비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업계에서는 “친환경 공법은 기업 이미지와 향후 수주 경쟁력을 위해 필요하지만 현장 채산성만을 고려하면 도입 속도를 높이기 어렵다”고 우려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친환경 장비 도입도 논의 중이다. 건설기계는 자동차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건설기계 부문의 전동화 전환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에 등록된 건설기계(약 55만4000대) 중 전기 건설기계는 약 8500대(1.5%)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건설기계 등록대수의 32%를 차지하는 굴착기(약 17만8000대)를 전기 굴착기로 전환하는 보급 사업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기 굴착기 등 저배출 건설기계를 사용하면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지만 장비 충전 인프라와 출력 한계로 작업 속도 저하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한 공정 지연 가능성 때문에 적용 확대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으로 보인다.

 

재활용 자재 사용도 논란이다. 폐콘크리트와 건축 폐기물을 재활용한 골재는 환경적으로 유리하지만 일부 발주처와 현장에서는 안전성·품질에 대한 불신이 여전하다. 그 결과 건설사는 친환경 평가를 위해 재활용 자재를 쓰면서도 품질 보증을 위한 추가 공정과 검사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만약 원가가 올라도 이를 분양가에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면 친환경 기술 적용에 따라 오히려 수익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ESG 인증이 수주의 필수 요건이지만 국내에서는 제도와 시장 구조가 따라주지 못해 오히려 기업의 부담으로만 작용한다”며 “현실에 맞는 인센티브 설계 없이는 ESG가 건설업계에서 환경 성과와 수익성의 모순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자금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ESG 현장 확대를 시도하지만 일부 현장에서는 원가·공기 부담이 현실적 리스크로 남는다”며 “ESG 확대 과정에서 기업별 적용 속도와 전략 차이가 국내 건설업계 경쟁 구조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