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IT일반


[노란봉투법 리스크 점검-플랫폼] 카카오, 재해율·파업…네이버, 인사·처우 갈등

카카오, 재해율· 협력사 수↑…6월 노조 파업 발생
네이버, 인사 논란·계열사 처우 관련 노사 갈등 지속

[편집자 주] 최근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각 기업에 비상이 걸렸다.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권리 보장과 기업의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 방지를 핵심으로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쟁의 확산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 부담이 커진다. FETV가 각 산업별 주요 기업들의 안전사고율, 협력사 구조 등 노동 관련 리스크를 짚어봤다.

 

[FETV=신동현 기자]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로 기업들의 경영 리스크가 커질 가운데 카카오는 재해율 상승과 더불어 계열사와 협력사 관리 부담이 커졌고, 카카오모빌리티 노조가 첫 파업에 돌입하는 등 노사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네이버는 비정규직 비율이나 재해율 등이 감소하며 지표상의 리스크는 줄였지만 인사 논란과 계열사 간 임금·복지 격차 문제로 노사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 카카오, 재해율·협력사 리스크↑

 

카카오는 최근 3년간 인력 구조에서 변화와 과제가 동시에 나타났다. 총 임직원 수는 2022년 3901명에서 2023년 3880명으로 소폭 줄었지만, 2024년 다시 4028명으로 회복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비정규직 직원 수는 220명에서 163명으로 줄었고, 비정규직 비율 역시 5.6%에서 4.0%까지 떨어졌다.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 일정 성과를 거둔 셈이다.

 

그러나 재해율은 전년 대비 수치가 높아졌다. 카카오는 2022년 1건이던 근로손실재해 발생 건수가 2023년 4건으로 늘었고 2024년에는 8건으로 다시 2배 증가했다. 근로손실재해율도 0.02%에서 0.17%로 꾸준히 상승했다.

 

노조 역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4년 10월 기준으로 카카오 노조는 본사 조합원 수가 2034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당시 카카오 법인 직원 수가 비정규직을 제외하면 3860명임을 감안하면 약 52.6%로 절반을 넘어서는 규모다. 근로기준법상 노조가입율이 과반수가 되면 카카오 노사협의회(노사 동수 각 8인)에 참여하는 근로자 위원을 전체 직원이 아닌 노조가 직접 선출할 수 있다. 이는 노조의 대표성이 강화되면서 회사가 임의로 근로조건을 변경하려 할 때 견제 장치가 될 수 있다.

 

협력사 수도 급격히 늘었다. 2022년 261개였던 협력사는 2024년에는 879곳으로 급격히 늘었다. 사용자’ 범위 확대로 원청기업, 지주회사, 플랫폼 운영사도 하청·특수고용 노동자의 교섭 대상이 될 수 있다. 관리해야할 협력사의 범위가 넓어졌다는 점에서 추후 협력사 관리에 대한 리스크가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계열사의 경우는 147개서 104개로 줄어들면서 전년 대비 30% 이상 감소했다.

 

 

◇ 네이버, 비정규직·재해율 리스크↓…협력사 관리 리스크도 ↓

 

네이버도 카카오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조금 높지만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총 임직원 수는 2022년 4963명에서 2023년 4417명으로 감소했지만 2024년에는 4611명으로 다시 늘었다. 비정규직 직원 수는 같은 기간 293명에서 210명으로 줄었으며 비정규직 비율도 5.9%에서 4.6%까지 지속적으로 낮아졌다.

 

안전 지표에서도 수치가 개선된 것은 확인됐다. 네이버는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2건의 근로손실재해가 있었지만, 2024년에는 재해 건수를 ‘0’으로 기록했다. 이에 따라 근로손실재해율도 0%를 달성했다. 다만 카카오가 20만 시간 대비라는 확실한 산출식을 제시한 반면 네이버는 총 노동 시간 대비와 같은 구체적인 산술식을 제공하지 않았다.

 

네이버 또한 노조 가입율이 과반수를 넘어섰다. 업계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으로 네이버의 노조 가입율이 50% 이상 넘었다. 또한 엔테크서비스, 네이버웹툰, 네이버제트, 스노우, 스튜디오 리코 등 휘하 6곳의 계열사도 노조 가입율이 50%를 넘었다.

 

협력사 현황의 경우 별도로 게재하지는 않았지만 2024년 ESG 보고서의 153쪽에 의하면 중소기업 구매 파트너와 체결하는 자율적 협약인 ‘공정거래협약’을 구매 파트너 총 131곳과 체결했다는 내용을 통해 일단 131곳의 협력사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 800곳이 넘는 협력사를 보유한 카카오에 비해서는 협력사 관리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계열사의 경우도 2024년 기준 104곳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카카오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 네이버·카카오, 인사 선임·처우 개선 등으로 노사 리스크 심화 전망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이미 올해 파업과 노조집회가 발생하며 노란봉투법으로 인한 노사리스크는 더 심화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2025년 5월 직장 내 괴롭힘 사망 사건으로 물러났던 최인혁 전 COO를 테크비즈니스 부문 대표로 선임하면서 노조와 정면충돌했다. 노조는 총투표에서 98% 이상이 복귀 반대 의사를 밝히며 “조직문화 개선의 퇴행”이라고 규정하며 주기적인 사옥 집회를 진행 중이다, 

 

또 여기에 본사와 계열사 간 처우 격차 개선에 대한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네이버 노조는 그린웹서비스, 스튜디오리코, 엔아이티서비스(NIT), 엔테크서비스(NTS), 인컴즈, 컴파트너스 6개 법인 노조와 함께 계열사의 처우 개선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2~4% 인상안을 제시하며 교섭이 결렬됐다. 이에 노조 측은 본사 측에서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하며 집회를 이어나가고 있다.

 

카카오의 갈등 중심에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부진한 와중에 일부 전·현직 경영진이 수십억 원대 스톡옵션 차익을 챙기며 논란이 된 바 있으며 또 TPG 컨소시엄의 지분 매각 추진 당시 노조가 “요금 인상과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약탈적 경영”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여기에 임금과 단체협상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갈등이 증폭됐고 결국 카카오 노조는 2025년 6월 설립 이후 첫 파업에 돌입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2023년 구조조정으로 분리됐던 검색 조직의 복귀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데다 최근에는 신규 법인 AXZ로 이관하겠다는 방침이 나오자 노조는 “검색 서비스 축소와 구조조정 수순”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노조는 지난 7월부터 성남 본사 앞에서 피케팅과 집회를 이어가며 사측에 약속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