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철강·중공업


고려아연, ‘게르마늄’ 국내 독립 공급망 구축…‘한미 협력’ 강화

[FETV=이신형 기자] 고려아연이 신규 공장 설립과 함께 ‘게르마늄’ 국내 독립 공급망을 구축해 한미 협력을 이어간다고 27일 밝혔다.

 

게르마늄은 대표적인 첨단 핵심소재로 전세계적인 ‘수출규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전략광물이다. 방산, 우주,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 있어 필수적인 핵심소재로 중국은 지난 2023년 갈륨과 함께 수출규제 1호 품목으로 게르마늄을 꺼내든 바 있다.

 

고려아연의 게르마늄 공장 신설 계획은 각국의 자원 무기화 추세가 심화되고 수급 불안이 가중되는 가운데 국내 유일 ‘전략광물 생산 첨병’ 역할을 다하는 의미 있는 행보라는 평가다. 또한 한미 양국의 경제안보 협력을 굳건히 다지고 공급망 안정화 선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고려아연은 온산제련소 내에 게르마늄 생산공장 신설을 결정했다. 전체 투자금액은 1400억원 정도로 2026년 상반기에 착공해 2027년 하반기 중 시운전을 거쳐 2028년 상반기 상업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고순도 이산화게르마늄(게르마늄 메탈 약 10톤)을 생산하는 목표를 수립했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정제 게르마늄 생산량 140톤의 68%가 중국산으로 집계될 정도로 게르마늄 시장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처럼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산업 기반을 약화시키는 구조적 위험 요인이다.

 

최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급망안정화위원회 회의에서 “공급망 안정은 경제 대혁신을 위한 혈류”라며 “정부는 국가경제의 생명선인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핵심품목의 국내 생산, 수입 다변화, 비축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방산 기업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장기 공급계약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참여를 계기로 의미있는 협력과 판로를 확보한 점도 큰 성과라는 평가다.

 

고려아연은 향후 게르마늄 상업생산이 본격화되면 록히드마틴 외에 대미 수출 확대도 모색한다. USG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게르마늄 메탈 대미 수출국 1위는 중국으로 같은 기간 미국 수입량의 51%를 차지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국가기간산업의 핵심축을 담당하는 기업으로서 대한민국 자원 주권을 수호하고 국익 증진에 앞장서겠다”며 “공급망 불안정이 심화되는 글로벌 환경 아래 경제안보를 지키는 든든한 방파제 역할을 해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