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신형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은 현재 'N8x(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 중심의 프리미엄 양극재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의 양산 공급을 통해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함으로써 양극재 시장에서의 사업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퓨처엠 연구원이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결정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포스코퓨처엠]](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7359696012_44d511.png?iqs=0.8453446775072702)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95% 이상으로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소재다. 향후 프리미엄급 전기차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모빌리티의 AI 활용 확대와 자율주행성능 고도화에 다량의 전력사용이 필수적이기에 울트라하이니켈 양극재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열안정성이 낮고 배터리 수명도 짧은 편이다. 단단한 입자구조로 충·방전 과정에서의 균열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단결성 소재를 혼합 사용해 원가 경쟁력도 확보했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고가인 니켈 함량 비율을 60% 내외로 낮추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밀도가 낮아지는 문제는 고전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양극재다. 망간 비율을 높이고 단결정화를 통해 충·방전 시 수축·팽창을 최소화해 안전성은 더욱 높였다.
또 제조 시 무공침 전구체(혼합 공정 생략 전구체)를 활용하고 원료 비중에서 고가의 니켈, 코발트 비율을 줄이는 한편 수산화리튬 대신 저렴한 탄산리튬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도 높은 편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울트라 하이니켈·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파일럿 개발에 이어 국내외 완성차 및 배터리사 등 고객사 요청 시 적기에 생산·공급할 수 있도록 양산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에서 황화리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음극재와 같은 차세대 소재 연구개발도 진행한다"며 "미래 배터리 산업을 선도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